반응형 NEWS & THESIS4277 성남 갈현동 절터, 세곡동 유적과 회암사지의 총합 성남시 의뢰로 중앙문화재연구원이 한 건 한 성남 갈현동 사지寺址는 실상 딱 절터만인가 하는 논란은 있을 수 있다. 이를 초보 검토한 어느 지인의 말대로 절이었을 수는 있으나 시종 절로만 썼는가는 의문이 일 수 있다. 그보다는 전반에서 풍기는 양태로 보아 나는 기존 절터를 모종의 다른 기능으로 전용하지 않았나 하는 상상도 해 본다. 조사단은 일단 건물 배치 품격과 출토 유물로 보아 이곳을 조선 전기 왕실 원찰로 추정했으니 주변에서는 기와 가마도 나왔다. 물론 이 정도 건물을 올리려면 주변에 그에 소요하는 막대한 기와를 공급하기 위한 생산시설인 가마를 운영한 경우는 멀리 백제시대 부여 왕흥사지를 비롯해 더러 있지만 조선 전기와 왕실 원찰급 건축물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보건대 반드시 비교검토가 있어야 할 데.. 2023. 7. 26. 성남 갈현동 절터 출토 유물들 by 이한용 공립박물관장 3연임 신화를 쓴 전곡선사박물관 털보는 현장을 실은 미리 댕겨와서는 어젯밤 은근히 자랑하려 하기에 갈현동? 알고 있으니 입 다물라 호통을 쳤다. 사진을 풀었으므로 전재한다. #성남갈현동절터 #성남갈현동사지 #왕실원찰 *** related article *** 성남 갈현동 갈마치 골짜기에서 출현한 조선전기 거대 사찰(유적 브로셔 첨부하니 다운로드하시오) 성남 갈현동 갈마치 골짜기에서 출현한 조선전기 거대 사찰(유적 브로셔 첨부하니 다운로드하시 이 소식은 그저께 요로를 통해 들어왔으니, 골자를 추리자면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469-1번지 일원에서 조선시대 전기(1392~1506년)에 만든 것으로 생각하는 왕실 원찰급 규모 거대 사찰 흔적이 발 historylibrary.net 2023. 7. 26. 성남 갈현동 갈마치 골짜기에서 출현한 조선전기 거대 사찰(유적 브로셔 첨부하니 다운로드하시오) 이 소식은 그저께 요로를 통해 들어왔으니, 골자를 추리자면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469-1번지 일원에서 조선시대 전기(1392~1506년)에 만든 것으로 생각하는 왕실 원찰급 규모 거대 사찰 흔적이 발견됐다는 것이며, 이를 토대로 삼아 성남시는 이 일대를 경기도문화재로 지정하고자 한다고 해서 오늘 공식 관련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성남시에 의하면 이 흔적은 주변 토지 소유주가 그것을 발견해 제보함으로써 존재가 보고됐고, 이를 토대로 삼아 최근 2년간 발굴조사를 했다고 한다. 보니 조사 의뢰를 받은 기관은 중앙문화재연구원이라, 한때는 발굴업계의 삼성이라 해서 전국 주요한 발굴현장은 독식하던 중문연 시대가 있었지만, 어찌한 셈인지 근자 이 연구원 존재감을 각인하는 소식은 없다가 이번에 제대로 다시금 우린 살아.. 2023. 7. 26. 농가무! 다람쥐 추락사건 사건 발생 장소 및 일시 : 요저납시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 어느 계단 주연 :삐둘기 조연 : 다람지 대사 삐둘기 : 농가무 다람지 : 안주여 삐둘기 : 혼차 쳐먹노? 다람지 : 니줄끼 어딨노? 지문 : 삐둘기가 꼬리로 다람지를 슬쩍 넘어뜨려 계단 밑으로 구르게 해서 추락사 시킨다. (2016. 7. 26) 2023. 7. 26. 한국고대근동학회 《한국고대근동학 노트》제3집 발간, 내려받기 가능 한국고대근동학회에서 발행하는 국내 유일의 고대근동학 저널인 "한국고대근동학 노트" 제3호가 나왔습니다. (KANES NOTE 2023 가을) 이번에도 재밌고 알찬 글이 많습니다. 고대근동의 지구라트 — 김아리 고대 이집트의 예술 3: 피라미드와 마스타바 — 유성환 바빌리 사람들의 지혜 3: 샤마쉬 찬양시 — 윤성덕 아트라하시스 이야기 3 — 주원준 서평: 얀 아스만, ⟪문화적 기억과 고대 문명⟫ — 김구원 아래 링크를 통해 전문을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url.kr/u5lbn6 http://kanes.academy 그리고 올해 가을학회는 더욱 알찬 일들로 준비중입니다.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ㅎㅎ) 작은 학회에 늘 관심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정성이 작은 학회를 운영하는데 큰 보.. 2023. 7. 25. 2천년 묵은 낙랑 목관으로 판 후지츠카 장서인藏書印 앞서 나는 추사학를 개척한 원훈대신 후지츠카 치카시 등총린 藤塚隣 소장품으로 과천 추사박물관에 기증된 것으로 평양 일대 낙랑 무덤에서 수습한 목관 조각을 이용해 인장 하나를 만들어 사용했다는 소식을 전했거니와, 아래가 그것이라. 낙랑 목관으로 제작한 후지츠카 도장 낙랑 목관으로 제작한 후지츠카 도장과천 추사박물관이 개최 중인 후지츠카藤塚와 난학蘭學 특별전 출품작 중에는 추사학을 개척한 원훈대신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隣 유품으로 다량의 인장印章 도장이 인장함과 함께 선보이거니historylibrary.net 이 인장은 그것을 담은 그릇인 인장함과 더불어 지금 추사박물관에서 개최 중인 '후지츠카와 난학蘭學' 특별전에 선보이고 있거니와, 다만 여러 제약으로 문제의 도장을 제대로 촬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니 그리하.. 2023. 7. 24. 이전 1 ··· 303 304 305 306 307 308 309 ··· 7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