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WS & THESIS4229 제주 신창리 해역 중국 무역선 발굴(동영상) Chinese medieval trading ship found in the sea near Jeju Island. 2020 제주 신창리 수중발굴조사 www.youtube.com/watch?v=YnFZABcUWn4 A large anchor stone of a Chinese medieval trading ship has been found in the sea near Sinchang-ri, Jeju. A large number of coins from the period of the North Song era were excavated. by courtesy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of Korea *** rela.. 2020. 11. 24. 제주 해역서 고대 중국 대형 닻돌..제2 신안선 나오나? - A large anchor stone of a Chinese medieval trading ship has been found in the sea near Sinchang-ri, Jeju. - Six coins from the North Song era were excavated. - More than 1,000 pieces of ceramics from the South Song period in China were discovered by courtesy of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카카오맵 당신을 좋은 곳으로 안내 할 지도 map.kakao.com 제주 신창리 바다서 중국 중세 무역선의 대형 닻돌 발견 송고시간 2020-11-24 09:52 임동근 기자 "국내서 발견된 기존 닻돌보다 크고 무거워" .. 2020. 11. 24. 세한歲寒, 국립박물관이 준비하는 겨울나기 '세한도'·'평안감사향연도'로 인생의 고락을 나눈다(종합) 송고시간 2020-11-23 13:30 임동근 기자 고화질 영상과 미디어아트로 작품 의미 및 내용 전달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겨울 지나 봄 오듯-세한·평안' 내일 시작 '세한도'·'평안감사향연도'로 인생의 고락을 나눈다(종합) | 연합뉴스 '세한도'·'평안감사향연도'로 인생의 고락을 나눈다(종합), 임동근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11-23 13:30) www.yna.co.kr 국립중앙박물관이 계절 감각에 맞는 전시 하나를 마련했으니, 다만 하나 우려가 격렬해지는 듯한 코로나팬데믹에 또 어영부영 잔치판만 벌여놓고는 흐지부지하는 것 아닌지 하지는 않을까니, 벌써 2단계로 들어간 판국이 이번 특별전 앞날도 별로 밝지만은 않을 듯한 전조를.. 2020. 11. 24. 동영상으로 보는 용인 보정동고분군 104호분 https://youtu.be/3kU505iMMcg https://youtu.be/8PjEa-RAdVw 2020. 11. 24. “2020 Asian Archaeology” from 6 countries in Eurasia NRICH hosts “2020 Asian Archaeology” - Showcases results of joint excavation from 6 countries in Eurasia / November 24th, 10 am, Daejeon Convention Center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Ji Byongmok, Director General) unde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CHA) will hold the “2020 Asian Archeology” academic symposium at Daejeon Convention Center on the 24th at 10:00 am. Sin.. 2020. 11. 23. [폼페이유적발굴] 고대로마인은 난쟁이? 이태리 폼페이유적 발굴성과를 앞서 간략히 소개했거니와, 이 자리에서는 그에서 누락한 사항들을 중심으로 보강하기로 한다. 1. 발굴동기 먼저 이번 발굴지점 치비타 줄리아나 Civita Giuliana 라는 데를 왜 발굴하게 되었는가이니, 폼페이유적 중심부에서 대략 북서쪽으로 700미터 떨어진 이곳은 로마시대에는 대규모 교외 빌라 지역으로, 무덤 도굴 피해가 극심했던 곳인 듯 이를 막고자 발굴조사가 실시되었으니, 알고보니 접때 전한 마굿간에서 마구를 장착한 말 세 마리 개체분을 발견한 그 지점이란다. 2. 조사성과와 조사방법 이번 조사는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two skeletons of individuals caught in the fury of the eruption have been found. 편의.. 2020. 11. 22. 이전 1 ··· 467 468 469 470 471 472 473 ··· 70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