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EADING HISTORY82

한문에 버벅거린 경연의 풍경들 아래 파란색 텍스트는 연려실기술 별집 제7권 / 관직전고(官職典故) ‘경연(經筵)’ 편 옮김 전문이다. 출전은 한국고전번역원이다. 이를 보면, 전통시대 글께나 한다는 지식인들 한문 수준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사극이라든가 혹은 정제되어 남은 문자자료들을 보면, 와, 이 사람들은 정말로 한문을 잘했구나, 하긴 어렸을 적부터 한문을 끼고 살았으니 잘 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라고 찬탄하겠지만, 실상은 전연 달라, 그런 그들에게도 한문은 외국어였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동시대 중국 사대부들에게 한문은 어땠을까? 장담하지만 그 수준이 조선의 그들보다 나은 점도 없다. 그들에게도 한문은 외국어였다. 물론 기본 문법구조가 당시 그네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한 소위 백화문과 같기 때문에 조선사람들에 견주어.. 2018. 2. 13.
"네 놈 중국어가 나하추 중국어 같구나" 목은 이색은 외국어 습득 능력이 꽝이다. 비교적 어린 나이에 아버지 이곡이 벼슬살이를 하는 연경燕京으로 유학가서 그쪽에서 삼년 정도 생활을 하고는 외국인 특별전형에도 합격했지만 말이 도무지 되지 않았다. 하지만 글은 좀 되고 외국생활이란 프리미엄이 붙으니 귀국 뒤에는 외교분야에서 맹활약하게 되고 이것이 그의 출세 수단이 된다. 원이 회복 불능으로 쇠미하고 남경에 기반을 둔 명 왕조가 개창하자 외교사절로 목은이 남경에 간다. 그를 면담한 무뢰배 출신 황제 주원장은 양다리 걸치기 하는 고려에 야마가 한껏 돌았다. 대뜸 욕찌꺼리 퍼붓고는 "네놈이 중국 유학을 했다니 중국말로 대답해 보라"니 목은이 몇 마디 떠듬거린 모양이다. 그걸 듣던 깡패 원장이가 목은을 다시 경멸한다. "네 놈 중국어는 나하추納哈出의 중국.. 2018. 2. 13.
이성계의 이색李穡 정치학 고려말 지성계 주류로 침투한 주자성리학은 그 태생이 반불교다. 실제 주자의 각종 어록엔 요즘 이단에 대한 극언을 서슴지 않는 한국사회의 개독 윤리와도 흡사하다. 하지만 이들이 옹립한 성계 이씨는 성리학과는 거리가 전연 멀었으니 첫째 공부를 안했으며 둘째 생평을 전장에서 말 위에서 보냈다. 더구나 그는 철두철미 고려인이다. 이건 여진족 계통이냐는 문제와는 관계없다. 고려시대 지배계층에는 불교에 대한 증오가 거의 없다. 이들에겐 공자와 석가가 한몸이다. 부식 김씨가 그랬고 제현 이씨가 그러했으며 더구나 고려말 유학의 종장이라는 목은 역시 철두철미 석가의 재가 신도였다. 이는 석가를 증오한 소위 신지식인들에게 포박된 성계도 마찬가지라 망나니 아들 방원이한테 쫓겨난 뒤엔 회암사로 들어가 아주 중이 된 성계 역시.. 2018. 2. 13.
기근(饑饉)과 한발(旱魃) 《묵자墨子》 중 ‘칠환(七患)’, 다시 말해 7가지 근심걱정을 논한 구절 중 하나다. 다섯 가지 곡식이란 백성들이 기대는 바이며, 임금이 살아가는 수단이다. 그런 까닭에 백성한테 기댈 곳이 없으면, 임금도 살아갈 방법이 없으며, 백성이 먹을 것이 없으면 모실 임금이 없다. 그런 까닭에 먹을 것에 힘쓰지 않을 수 없고, 땅을 개간하는데 힘 기울이지 않을 수 없으며, 쓰임을 줄이지 않을 수 없다. 오곡을 다 거두면, 다섯 가지 미각을 군주에게 제공하나, 다 거두지 못하면 군주에게 바칠 것이 없다. (다섯 곡물 중) 하나를 거두지 못함을 일러 근(饉)이라 하며, 두 가지를 거두지 못하는 일을 한(旱)이라 하며, 세 사지를 거두지 못하면 흉(凶)이라 하고, 네 가지 곡물을 거두지 못하는 것을 궤(餽)라 하며, .. 2018. 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