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23 김억렴(金億廉) 신라 마지막 경순왕 김부의 큰아버지이며, 그의 딸이 고려 태조 왕건의 후비(后妃) 중 한 명인 신성왕후(神成王后)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처음에 왕이 국토를 바치고 항복해 오자 태조는 무척 기뻐하여 후한 예로 그를 대접하고, 사람을 시켜 말했다. “이제 왕이 내게 나라를 주시니 주시는 것이 매우 큽니다. 원컨대 왕의 종실(宗室)과 혼인을 해서 구생(舅甥)의 좋은 의(誼)를 길이 하고 싶습니다.” 왕이 대답했다. “우리 백부(伯父) 억렴(億廉·왕의 아버지 효종孝宗) 각간은 추봉된 신흥대왕의 아우다)에게 딸이 있는데 덕행과 용모가 모두 아름답습니다. 이 사람이 아니고는 내정(內政)을 다스릴 사람이 없습니다.” 태조가 그에게 장가드니 이가 신성왕후(神成王后) 김씨(金氏)다.. 2018. 4. 9. 신란공주(神鸞公主) 고려 태조 왕건의 맏딸로 귀순한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 김부에게 시집간 낙랑공주가 결혼 이후 받은 칭호. 죽은 뒤에는 효목(孝穆)이라 일컬어졌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태조는 신라의 국서를 받자 태상(太相) 왕철(王鐵)을 보내서 맞게 했다. 왕은 여러 신하를 거느리고 우리 태조에게로 돌아가니, 향거보마(香車寶馬)가 30여 리에 뻗치고 길은 사람으로 꽉 차고, 구경꾼들이 담과 같이 늘어섰다. 태조가 교외에 나가서 영접하면서 위로하고 대궐 동쪽 한 구역(지금의 정승원)을 주고, 장녀 낙랑공주(樂浪公主)를 그의 아내로 삼았다. 왕이 자기 나라를 작별하고 남의 나라에 와서 살았다 해서 이를 난조(鸞鳥)에 견주어 공주 칭호를 신란공주(神鸞公主)라고 고쳤으며, 시호(諡號)를 효목.. 2018. 4. 9. 효목(孝穆) 고려 태조 왕건의 맏딸로 귀순한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 김부에게 시집간 낙랑공주가 죽은 뒤에 받은 시호.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태조는 신라의 국서를 받자 태상(太相) 왕철(王鐵)을 보내서 맞게 했다. 왕은 여러 신하를 거느리고 우리 태조에게로 돌아가니, 향거보마(香車寶馬)가 30여 리에 뻗치고 길은 사람으로 꽉 차고, 구경꾼들이 담과 같이 늘어섰다. 태조가 교외에 나가서 영접하면서 위로하고 대궐 동쪽 한 구역(지금의 정승원)을 주고, 장녀 낙랑공주(樂浪公主)를 그의 아내로 삼았다. 왕이 자기 나라를 작별하고 남의 나라에 와서 살았다 해서 이를 난조(鸞鳥)에 견주어 공주 칭호를 신란공주(神鸞公主)라고 고쳤으며, 시호(諡號)를 효목(孝穆)이라 했다. 왕을 봉해 정승(正承).. 2018. 4. 9. 낙랑공주(樂浪公主) 고려 태조 왕건의 맏딸로 귀순한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 김부에게 시집갔다. 이후 신란공주(神鸞公主)라 불렀으며, 죽어 받은 이름인 시호는 효목(孝穆)이다. 삼국유사 권제1 기이 1 낙랑국(樂浪國) : 이상 여러 글에 의하면 낙랑(樂浪)이 곧 평양성(平壤城)임이 마땅하다. 혹은 말하기를 낙랑의 중두산(中頭山) 밑이 말갈(靺鞨)과의 경계이고, 살수(薩水)는 지금의 대동강이라고 하지만 어느 말이 옳은 지 알 수 없다. 또한 백제 온조왕(溫祚王)의 말에는 "동쪽에 낙랑이 있고, 북쪽에 말갈이 있다"고 했다. 이는 아마도 옛날 한(漢)나라 때 낙랑군에 소속된 현(縣)일 것이다. 신라 사람들이 역시 이곳을 낙랑이라고 했기 때문에 지금 고려에서도 또한 여기에 따라 낙랑군부인(樂浪郡夫人)이라 불렀다. 또 태조(太祖)가.. 2018. 4. 9. 왕철(王鐵) 신라가 고려에 항복할 때 고려의 태상(太相)이었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태조는 신라의 국서를 받자 태상(太相) 왕철(王鐵)을 보내서 맞게 했다. 2018. 4. 9. 범공(梵空) 신라 마지막 경순왕의 막내아들로 신라가 고려에 항복할 때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바꾼 승려 이름. 법수사와 해인사에 주로 있었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김부대왕(金傅大王) : 청태(淸泰) 2년 을미(乙未·935) 10월에 사방 땅이 모두 남의 나라 소유가 되고 나라는 약하고 형세가 외로우니 스스로 지탱할 수가 없었으므로 여러 신하와 함께 국토를 들어 고려 태조에게 항복할 것을 의논했다. 그러나 여러 신하의 의논이 분분하여 끝나지 않는지라 왕태자(王太子)가 말했다. "나라의 존망은 반드시 하늘의 명에 있는 것이니 마땅히 충신·의사(義士)들과 함께 민심을 수습해 힘이 다한 뒤에야 그만둘 일이지 어찌 1,000년 사직을 경솔하게 남에게 내주겠습니까?" 왕이 말했다. "외롭고 위태롭기가 이와 같으니.. 2018. 4. 9. 이전 1 ··· 3121 3122 3123 3124 3125 3126 3127 ··· 335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