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99

견훤(甄萱) 후백제 건국시조(?~936). 재위 900~935년. 삼국사기 권 제11(신라본기 제11) 진성왕본기 : 6년(892) 완산(完山)의 도적 견훤(甄萱)이 그 주에 근거하여 스스로 후백제(後百濟)라 칭하였는데, 무주(武州) 동남쪽의 군과 현이 항복하여 소속되었다. 삼국사기 권 제12(신라본기 제12) 효공왕본기 : 5년(901) ...가을 8월에 후백제 왕 견훤(甄萱)이 대야성을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자 군사를 금성(錦城)의 남쪽으로 옮겨 연변(沿邊)의 마을을 약탈하고 돌아갔다. 11년(907) 봄과 여름에 비가 오지 않았다. 일선군(一善郡) 이남의 10여 성이 모두 견훤에게 빼앗겼다. 14년(910) 견훤이 몸소 보병과 기병 3천 명을 이끌고 나주성(羅州城)을 에워싸고 열흘이 지나도록 풀지 않았다. 궁.. 2018. 9. 28.
아자개(阿慈介) 후백제 건국자인 견훤의 아버지로 신라인. 가은현 출신으로 농사를 짓다가 뒤에 장군이 되었다. 삼국사기 권제12(신라본기 제12) 경명왕 : 2년(918) ...가을 7월에 상주(尙州)의 도적 우두머리 아자개(阿玆盖)가 사자를 보내 태조에게 항복하였다. 삼국사기 권제50 (열전 제10) 견훤(甄萱) 열전 : 견훤은 상주(尙州) 가은현(加恩縣) 사람이다. 본래의 성은 이(李)씨였으나 후에 견(甄)으로 씨(氏)를 삼았다. 아버지 아자개(阿慈介)는 농사를 지으며 살아오다가 후에 가문을 일으키어 장군이 되었다. 이보다 앞서 견훤이 태어나 어린 아기였을 때 아버지가 들에서 일하면 어머니가 식사를 날라다 주었는데, 아이를 나무 수풀 밑에 놓아두면 호랑이가 와서 젖을 먹였다. 시골에서 이 말을 들은 사람들이 기이하게 .. 2018. 9. 28.
량길(良吉) 삼국사기 열전 2018. 9. 28.
양길(良吉) ☞ 량길(良吉) 2018. 9. 28.
수미강(須彌强) 삼국사기 열전 2018. 9. 28.
왕신(王信) 삼국사기 열전 2018. 9.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