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60 비담(毗曇) 신라 선덕여왕 시대 고위 관료로 상대등까지 올랐다가 왕위 찬탈을 노린 반란을 꾀하다 김유신에게 주살됐다. 삼국사기 권제5(신라본기 제5) 선덕왕 : 14년(645)...겨울 11월에 이찬 비담(毗曇)을 상대등으로 삼았다. 16년(647) 봄 정월에 비담과 렴종(廉宗) 등이 말하기를 “여자 임금은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없다.” 해서 반역을 꾀하여 군사를 일으켰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삼국사기 권제5(신라본기 제5) 진덕왕 : 원년(647) 정월 17일에 비담(毗曇)을 목 베어 죽였는데, 그에 연루되어 죽은 사람이 30명이었다. 삼국사기 권제41 (열전 제1) 김유신 : 16년 정미(647)는 선덕왕 말년이고 진덕왕 원년이다. 대신 비담(毗曇)과 렴종(廉宗)이 여자 임금(女主)이 잘 다스리지 못한다 하여 군사.. 2018. 3. 19. 허황옥(許黃玉) 금관국 시조 수로왕(首露王)의 비(妃)로서, 동한(東漢) 건무(建武) 24년 갑신(甲申·48)에 서역(西域) 아유타국(阿踰陁國)에서 도착해 수로 배필이 되었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천지(天地)가 처음 열린 이후로 이곳에는 아직 나라 이름이 없었다. 그리고 또 군신(君臣)의 칭호도 없었다. 이럴 때에 아도간(我刀干)ㆍ여도간(汝刀干)ㆍ피도간(彼刀干)ㆍ오도간(五刀干)ㆍ유수간(留水干)ㆍ유천간(留天干)ㆍ신천간(神天干)ㆍ오천간(五天干)ㆍ신귀간(神鬼干) 등 아홉 간(干)이 있었다. 이들 추장(酋長)들이 백성들을 통솔했으니 모두 100호(戶)로서 7만 5,000명이었다. 이 사람들은 거의 산과 들에 모여서 살았으며 우물을 파서 물을 마시고 밭을 갈아 곡식을 먹었다. 후한(後漢)의 .. 2018. 3. 19. 허황후(許皇后) ☞허황옥(許黃玉) 2018. 3. 19. 허왕후(許王后) ☞허황옥(許黃玉) 2018. 3. 19. 무도(茂刀) 금관가야 마지막 임금 구형왕의 세 아들 중 둘째. 무덕(武德)이라고도 한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가락국기(駕洛國記) : 구형왕(仇衡王). 김씨. 정광(正光) 2년 즉위. 치세 42년. 보정(保定) 2년 임오(壬午. 562) 9월에 신라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이 군사를 일으켜 쳐들어오니 왕은 친히 군사를 지휘했다. 그러나 적병의 수는 많고 이쪽은 적어서 대전(對戰)할 수가 없었다. 이에 동기(同氣) 탈지이질금(脫知尒叱今)을 보내서 본국에 머물러 있게 하고, 왕자와 장손(長孫) 졸지공(卒支公) 등은 항복하여 신라에 들어갔다. 왕비는 분질수이질(分叱水尒叱)의 딸 계화(桂花)로, 세 아들을 낳으니, 첫째는 세종(世宗) 각간(角干), 둘째는 무도(茂刀) 각간, 셋째는 무득(茂得) 각간이다. 《개황.. 2018. 3. 19. 문호왕(文虎王) 문무왕(文武王)에 대한 고려시대 표기. 고려 2대 혜종 이름이 武임을 기휘하기 위한 표기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31대 신문왕(神文王)은 김씨다. 이름은 정명(政明)이고 자(字)는 일소(日炤)이다. 아버지는 문호왕(文虎王)이고 어머니는 자눌왕후(慈訥王后)이다. 비는 신목왕후(神穆王后)이니 김운공(金運公)의 딸이다. 신사년에 즉위해 11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 문호왕(文虎王) 법민(法敏)이라 해서 문무왕 김법민을 문호왕이라 하고 있다.(보완요) ☞문무왕 2018. 3. 19. 이전 1 ··· 3327 3328 3329 3330 3331 3332 3333 ··· 35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