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61 문호왕(文虎王) 문무왕(文武王)에 대한 고려시대 표기. 고려 2대 혜종 이름이 武임을 기휘하기 위한 표기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 : 제31대 신문왕(神文王)은 김씨다. 이름은 정명(政明)이고 자(字)는 일소(日炤)이다. 아버지는 문호왕(文虎王)이고 어머니는 자눌왕후(慈訥王后)이다. 비는 신목왕후(神穆王后)이니 김운공(金運公)의 딸이다. 신사년에 즉위해 11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紀異) 제2 : 문호왕(文虎王) 법민(法敏)이라 해서 문무왕 김법민을 문호왕이라 하고 있다.(보완요) ☞문무왕 2018. 3. 19. 법민(法敏) 신라 제30대 문무왕의 이름. ☞문무왕 2018. 3. 19. 인문(仁問) ☞김인문(金仁問) 2018. 3. 19. 흠순(欽純) ☞김흠순(金欽純) 2018. 3. 19. 흠춘(欽春) ☞김흠춘(金欽春) ☞김흠순(金欽純) 2018. 3. 19. 고장왕(高藏王) 고구려 마지막 제28대 왕인 보장왕(寶臧王·재위 642~668)을 다르게 일컫는 이름. 고구려 왕족 성이 高씨이기 때문에 고장왕이라 칭한 것이다. 삼국사기 권제5(신라본기 제5) 선덕왕 : 11년(642) 봄 정월에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가을 7월에 백제 왕 의자(義慈)가 군사를 크게 일으켜 나라 서쪽 40여 성을 쳐서 빼앗았다. 8월에 또 고구려와 함께 모의하여 당항성을 빼앗아 당나라와 통하는 길을 끊으려 하였으므로 왕이 사신을 보내 [당] 태종에게 위급함을 알렸다. 이 달에 백제 장군 윤충(允忠)이 군사를 이끌고 대야성(大耶城)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는데, 도독 이찬 품석(品釋)과 사지(舍知) 죽죽(竹竹)·용석(龍石) 등이 죽었다. 겨울에 왕이 장차 백제를 쳐서 대야성에서의 싸움을 보복.. 2018. 3. 19. 이전 1 ··· 3328 3329 3330 3331 3332 3333 3334 ··· 35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