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역사학자가 한 명도 없다?” 경계의 학문, 그 허물기를 위하여

by taeshik.kim 2018. 2. 22.
반응형

아래는 2011.12.22 내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taeshik.kim.5)에 게재한 글이다. 

나는 기자로서의 본분에 기반한 활동 외의 기타 여가 활동을 하면서 내내 갑갑했다. 역사학이니 고고학이니 구분하는 자체가 경멸스러웠으니, 그리하여 예컨대 근현대사 논란이 터졌을 적에도 이른바 뉴라이트 계열이 그 교과서라는 걸 출간했을 적에도 그것을 반대하는 목소리 중 하나로 “역사학자는 한 명도 없다”는 말을 나는 경멸했다. 

내가 뉴라이트 계열에 기울어졌기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말하는 역사학자가 도대체 무엇인지 나는 묻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 갑갑함은 이른바 고대사로 무대를 옮겨도 마찬가지였으니 나는 근본이 신라사 고구려사 백제사 가야사 일본사 중국사를 구분하는 자체를 경멸한다. 그리하여 나는 내가 늘상 한국고대사 연구자들이 “한국사는 사료가 없다”는 한탄을 들을 적마다 저 광활한 사고전서와 또 바다건너 일본의 모든 자료가 한국사 자료임을 역설했다.

그렇다고 내가 어디 하나 특출난 곳이 있는 것도 아니다. 오직 화랑세기 논쟁과 관련해서만이 나는 그 분야 전문가를 자처할 뿐이다. 이제는 이런 범주라는 껍데기를 벗어던질 때가 된 듯하다. 내가 미술사 전공자가 아니라도 얼마든 미술사를 할 수 있고, 내가 음악사 전공자가 아니며 악보조차 볼 지 모른다 해도 얼마든 음악사학도일 수 있다고 믿는다. 

시간을 붕파하고 공간을 균열하는 그런 학문을 하고 싶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