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探古의 일필휘지

《녹파잡기綠波雜記》를 읽고

by taeshik.kim 2022. 12. 1.
반응형



19세기 개성 문인 한재락韓在洛의 《녹파잡기綠波雜記》는 당대에 이름을 떨친 기생 66명과 명인 5명을 직접 만나보고 적은 일종의 인터뷰다.

19세기 조선의 풍속과 예술 흐름을 엿볼 귀한 자료인데, 근래의 번역본이 없는 건 아니었지만 좀 불완전했다.

그런데 얼마 전에 안대회 선생님의 새 번역이 나와 기존 번역의 오류들을 상당히 바로잡았다.

나오자마자 사서, "고려시대에도 이런 자료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란 상상을 하며 책장을 넘겼는데, 한재락의 형님 되는 한재렴韓在濂이라는 분은 고려시대 개경의 옛 모습을 고증한 《고려고도징高麗古都徵》이란 저술로 유명해 더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녹파잡기》에 비평을 단 자하紫霞 신위申緯(1769~1847)가 "이 책에서 첫째가는 여인이다"라고 극찬한 영희英姬라는 기생이 있다.

한재락도 《녹파잡기》 상당한 분량을 그에게 할애하고 있는데, 그 내용이 꽤나 흥미롭다.



- 영희는 자가 소미小眉이고, 호가 쌍희관雙喜館이다. 우아하고 차분하며 단정하고 소박하다. 또한 따뜻하고 고아하며 총명하고 민활하다. 사람됨은 국화꽃처럼 담박하고, 재주는 비단처럼 뛰어나다. 노래와 춤을 잘하면서도 아무것도 잘 하지 못하는 듯이 다소곳하다. 난초를 즐겨 그리는 성품으로, 마른 잎과 성근 꽃잎을 그린 그림은 필묵이 수려하고 윤기가 흘러 옛사람의 필의筆意를 깊이 터득한 듯 하다. 거처하는 방에는 담황색 발을 치고 무늬목 서안書案을 놓았다. 자기와 완상품 및 서화를 진열해놓고 온종일 향을 사르며 단정히 앉아있다. 방문 앞을 지나가도 안에 아무도 없는 듯 적막하다. 훗날에 태어난 빼어나고 수려한 여인이다.



이름이나 맨 마지막 문장을 바꾸면, 기생이 아니라 어느 선비의 열전列傳이라 해도 손색없는 문장이다.

기생 같은 하층의 인물에게도 이러한 묘사가 가능했고, 그것을 자하 같은 명사들도 인정해주었던 것이다.

이것을 이른바 '근대성'과 연관지을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그래도 19세기 조선을 한 번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2017. 12. 1)

 

*** related article *** 

 

19세기 평양 기생들의 추억 《녹파잡기綠波雜記》

 

19세기 평양 기생들의 추억 《녹파잡기綠波雜記》

2006.05.25 09:33:47 '녹파잡기'에 기생 67명 문학적 형상화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43세가 되던 해인 1792년에는 부인 덕수이씨(德壽李氏)를 잃었으며, 이듬해에는 그렇게 의지하던 청장관(靑莊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