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

《임하필기》 제19권가 수록한 《계림유사鷄林類事》의 방언方言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1. 9. 21.
반응형

《계림유사》는 북송의 손목孫穆이 편찬한 일종의 견문록見聞錄이자 역어집譯語集.

그가 고려 숙종 8년(1103)에 서장관으로 고려에 와서 당시 고려의 조제朝制, 토풍土風, 구선口宣, 각석刻石 등과 함께 고려어高麗語 360여 어휘를 채록하여 분류, 편찬한 책이다.

번역할 때 고려음을 중국음으로 표기했으면 근사한 음가를 알 수 있을 듯.

하늘[天]을 한날(漢捺), 해[日]를 항(姮), 달[月]을 설(契), 구름[雲]을 굴림(屈林), 바람[風]을 불람(孛纜), 눈[雪]을 눈(嫩), 비[雨]를 비미(霏微), 천둥[雷]을 천동(天動), 귀신[鬼]을 기심(幾心), 부처[佛]를 불(孛),

하나[一]를 하둔(河屯), 둘[二]을 도발(途孛), 셋[三]을 세(洒), 넷[四]을 내(迺), 다섯[五]을 타술(打戌), 여섯[六]을 일술(逸戌), 일곱[七]을 일급(一急), 여덟[八]을 일답(逸答), 아홉[九]을 아호(鴉好), 열[十]을 열(噎), 스물[二十]을 술몰(戌沒), 서른[三十]을 실한(實漢), 마흔[四十]을 마우(麻雨), 쉰[五十]을 순(舜), 예순[六十]을 일순(逸舜), 일흔[七十]을 일단(一短), 여든[八十]을 일돈(逸頓), 아흔[九十]을 아돈(鴉頓), 백(百)을 온(醞),

아침[朝]을 아참(阿慘), 점심[午]을 염재(捻宰), 저녁[暮]을 점날(占捺), 오늘[今日]을 오날(烏捺), 내일[明日]을 할재(轄載), 모레[後日]를 모로(母魯)라 한다.

흙[土]을 할희(轄希), 불[火]을 불(孛), 뫼[山]를 매(每), 돌[石]을 돌(突), 물[水]을 몰(沒), 우물[井]을 오몰(烏沒), 풀[草]을 술(戌), 꽃[花]을 골(骨), 나무[木]를 남기(南記), 대[竹]를 대(帶), 밤[栗]을 감(監), 호두[胡桃]를 갈래(渴來), 배[梨]를 배(敗),

수[雄]를 골시(鶻試), 암[雌]을 암(暗), 닭[鷄]을 탁(啄) -음(音)은 달(達)이다.-, 까치[鵲]는 갈칙기(渴則寄), 까마귀[鴉]는 타마귀(打馬鬼), 참새[雀]는 새(賽), 범[虎]은 감(監), 소[牛]는 소(燒), 개[犬]는 가희(家稀), 고양이[猫]는 귀니(鬼尼), 쥐[鼠]는 취(觜), 말[馬]은 말(末), 게[蟹]는 개(慨), 벼룩[蚤]은 비륵(批勒), 손님[客]은 손명(孫命), 관리[官]는 원리(員理), 유자(遊子)는 부랑인(浮浪人)이라 한다.

나를 칭하는 말은 능(能), 당신은 누구냐고 묻는 말은 누개(鏤箇)라 한다.

할아버지[祖]와 그뻘의 어른[舅]은 모두 한료비(漢了祕), 백숙(伯叔)은 모두 아사비(丫査祕), 숙백모(叔伯母)나 이모[姨], 외숙모[妗]는 모두 아자미(丫子彌), 사내[男子]는 사남(吵喃), 아우[弟]는 요아(了兒), 누이[妹]는 아자(丫慈)라 한다. 아비가 그 아들을 부르는 말은 아가(丫加), 할머니[姑]는 한료미(漢了彌)라 한다.

낯[面]은 날시(捺翅), 입[口]은 색(色), 이[齒]는 이(你), 눈[眼]은 눈(嫩), 귀[耳]는 괴(愧), 가슴[胸]은 가(軻), 배[腹]는 파(擺), 손[手]은 손(遜), 발[足]은 발(潑), 손을 씻다[洗手]는 손시사(遜時蛇)라 한다.

소금[鹽]은 소감(蘇甘), 기름[油]은 기림(畿林), 고기[魚肉]는 고기(姑紀), 밥[飯]은 박거(朴擧), 미음[粥]은 모주(謨做)라 한다.

술을 마시다[飮酒]는 수리마사(酥李麻蛇), 모든 마시는 것은 마사(麻蛇), 손님에게 다 마시도록 권하는 것은 타마차(打馬此), 끓인 물[熟水]은 이근몰(泥根沒), 찬물[冷水]은 시근몰(時根沒)이라 한다.

구슬[珠]은 구술(區戌), 쇠[鐵]는 세(歲), 삼[麻]은 삼(三), 견(絹)은 급(及), 베[布]는 배(背), 모시[苧]는 모시(毛施), 두건(頭巾)은 토권(土捲), 이불[被]은 이불(泥不), 신[鞋]은 성(盛), 버선[襪]은 배술(背戌), 바늘[針]은 피날(被捺), 실[綿]은 실(實),

흰[白]은 해(海), 누런[黃]은 나론(那論), 붉은[紅]은 진홍(眞紅), 자[尺]는 작(作), 되[升]는 도(刀), 말[斗]은 말(抹), 배[船]는 파(擺), 자리[席]는 등석(䔲席), 탁자(卓子)는 식상(食床), 부채[扇]는 불채(孛采), 빗[梳]은 비(祕), 빗치개[篦]는 빈희(頻希), 양치[齒刷]는 양지(養支), 잔반(盞盤)은 대반(臺盤), 접시[楪]는 접지(楪至), 대야[盂]는 대야(大也), 숟가락[匙]은 술(戌), 저(箸)는 절(折), 벼루[硯]는 피로(皮盧), 활[弓]은 활(活), 살[箭]은 살(薩), 검(劍)은 장도(長刀), 그림[畫]은 기림(乞林)이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