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잔대가리 발달한 연구자는 표절도 영악하다. 그러나 표절하는 김에 염치나 노력 따위는 개나 주는 연구자가 대부분이다.
인문학 논문은 주석을 살피면 잔대가리가 있든 없든 표절을 알 수 있다. 주석의 오류를 거르지 못하고 베끼기 때문이다.
또 흔한 실수가 오자도 베끼는 것이다. 주석에 《萬機耍覽》이라는 게 있었다. 만기사람은 뻔한 실수다. 사(耍)가 요(要)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인용문도 견(遣)이 유(遺)로 잘못 쓰인 경우도 허다하다. 틀린 것을 보면 누구 것 베꼈는지 금방 알 수 있다.
잔대가리 굴리다가 실수하는 연구자도 있다. 《성호사설》이 대표적이다. 조선광문회본 원문과 한국고전번역원 번역본은 대본이 달라서 卷이 완전히 다른데 같을 줄 알고 슬쩍 고쳐서 찾을 수 없는 주석이 되기도 한다.
반응형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창고보 교사 송태회宋泰會(1872~1941) (0) | 2021.10.16 |
---|---|
신숙주가 무장읍성 아관정迓觀亭에서 읊은 시 (0) | 2021.10.10 |
자하 신위 vs. 추사 김정희, 침계梣溪를 쓴 두 거장 (0) | 2021.10.01 |
《임하필기》 제19권가 수록한 《계림유사鷄林類事》의 방언方言 (0) | 2021.09.21 |
상행선 공주 정안휴게소서 홀길동을 반추한다 (0) | 2021.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