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 베이브: 50,000살 들소와 이색적인 잔치
1979년, 알래스카 페어뱅크스Fairbanks 북쪽에서 일하던 금광부들이 놀라운 발견을 했다.
미라로 굳은 스텝 들소steppe bison, 나중에 블루 베이브 Blue Babe라고 일컫게 된 들소다.
영구동토층permafrost에 5만 년 동안 보존된 이 들소는 뒷부분에 발톱과 이빨 자국이 있었는데, 이는 오늘날 사자보다 25% 더 큰 빙하기 포식자인 북미 사자 American lion한테 사냥당했다는 증거다.
비록 사자는 들소의 갈비뼈와 상지 근육upper limb muscles을 많이 먹었지만, 사체는 너무 빨리 얼어서 청소부들은 잔치를 끝낼 수 없었다.
수십 년 후인 1984년 한 무리 고생물학자들이 예상치 못한 결정을 내렸다.
그들은 역사의 한 조각을 맛보게 될 것이다.
박제사taxidermist 에이릭 그란크비스트Eirik Granqvist가 블루 베이브 복원 작업을 한 일을 축하하기 위해, 들소의 보존된 목 근육 작은 부분을 썰어 육수와 채소로 끓인 후 스튜로 만들었다.
알래스카 대학 동물학자인 R. 데일 거스리 Dale Guthrie 교수는 나중에 그 경험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고기는 잘 숙성되었지만 여전히 약간 질겼고, 스튜에 강한 홍적세 향Pleistocene aroma을 주었지만, 그곳에 있는 누구도 감히 그것을 놓치지 않았을 것이다.
..해동되었을 때, 발견된 땅의 희미한 냄새와 버섯 향이 불쾌하게 섞이지는 않았으며 틀림없는 소고기 향을 풍겼다. 1984년 4월 6일, 우리 열두 명 정도가 함께 모여 식사를 했다. 맛도 있었으며 그 식사 때문에 불편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들소의 많은 부분이 완전히 얼기 전에 상했지만, 사자가 거의 손대지 않은 목 근육은 여전히 신선한 상태에서 보존되어 이 희귀하고 전례 없는 요리 실험을 가능하게 했다.
Source: Food History Almanac: Over 1,300 Years of World Culinary History, Culture, and Social Influence by Janet Clarkson.
'미라 이야기 > 북극 동물미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해서 먹을 수 없던 매머드 고기" (1) | 2025.04.02 |
---|---|
털코뿔소 화석을 수집했다는 미케네인들 (0) | 2025.03.23 |
인간이 어쩌면 마주했을 털코뿔소 (1) | 2025.03.23 |
절반이 줘 뜯긴 시베리아 새끼 털코뿔소 (0) | 2025.03.18 |
북아메리카 영구동토층이 토해 낸 불쌍한 매머드 새끼님 (15) | 2024.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