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비닐농법, 농업의 혁명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5. 2.
반응형



이 농법이 없었다.

비닐이 없었기 때문이다.

물론 근간은 변한 게 없다.

고랑 이랑 만들어 고구마 모종하는 방식이 달라질 리 있겠는가?

따로 키운 모종은 보통 비가 내리는 날을 기다려 했다.

모종이 살아나려면 물이 없음 안되기 때문이다.

어제 비가 왔다.

엄마가 모종하다 채 심지를 못해 아침 나절 나머지를 해치운다.

비가 안 오니 나는 조리 들고서 쫄래쫄래 물을 준다.

이것도 일이라고 허리가 아프다.

이 비닐 농법은 많은 것을 바꿨으니

무엇보다 잡초와의 전쟁에서 비로소 이겼다는 사실은 대서특필해야 한다.

저 하우스 아래서도 잡초가 자라 심지어 뚫고 나오기도 하나 저 비닐에선 오직 고구마 감자 같은 선택받은 작물만이 살아남는다.

소출?

종래와는 비교할 수도 없다.

또한 수분증발을 막는다.

빗물이 새어들지 못하는 단점이 있지만 잃는 것보다 얻는 게 더 많다.

지금 뿌린 물은 온전히 저 모종 차지다.

아 물론 저 비닐 환경문제는 심각하다.

보통은 가을걷이 끝나고선 태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