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몰락하는 순혈 제국 이집트 (664–332 B.C.)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4. 7. 25.
반응형
Barque Sphinx, Late Period, ca. 664–525 B.C.

 
사이테 시대Saite Period 또는 제26왕조(기원전 664~525년)

기원전 664년 아시리아인들이 마지막 침공 이후 철수했을 때 이집트는 사이테 왕들의 손에 맡겨졌지만 실제로는 기원전 656년이 되어서야 사이테 통치자 프삼티크 1세(Psamtik I)는 테베가 지배하는 남부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다시 주장할 수 있었다.

그 후 130년 동안 이집트는 강력한 단일 가문인 제26왕조 통치 혜택을 누렸다.
침입한 아시리아인들에 의해 권력에 오른 26왕조는 이집트가 더 이상 국제 권력 정치에서의 그것의 역할이 아니라 국가로서의 순수한 생존에 관심이 있는 세계에 직면했다. 

그러나 그들 뒤에 있는 길고 풍부한 전통들은 석물들과 조각상들에서 예술적인 표현의 새로운 단계를 목격한 문화를 강화했다. 

후세들은 이 왕조를 이집트 역사를 대표하는 것으로 기억하고 차례로 사이트 양식을 요약했다.

사이테 통치하 이집트는 아시리아의 봉신封臣vassal 에서 독립적인 동맹국으로 성장했다.

심지어 소아시아Asia Minor(아시리아 제국이 기원전 612년 붕괴한 후)와 누비아Nubia로의 사이테 군사 작전에서 이집트 신왕국의 지나간 힘에 대한 메아리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사이테 파라오는 이집트 군인들뿐만 아니라 카리아인Carian(서남부 소아시아, 현대 튀르키예 출신), 페니키아인, 그리스인 등 외국 용병들에게 의존해야 했다.

이 다른 민족들은 수도인 멤피스Memphis에서 각자의 숙소에서 살았다.

그리스 도시 국가들은 또한 델타 서부의 나우크라티스Naukratis에 무역 정착촌을 설립하는 것이 허용되었고, 토니스/헤라클리온Thonis/Heraklion에 있는 그리스-이집트 혼합 정착촌과 함께 이집트에서 그리스로 이동하는 문화적 영향의 직접적인 통로 역할을 했다.

그리스인들은 또한 델타의 다른 많은 지역에 정착했다.

기원전 612년 아시리아가 몰락한 이후, 이집트에 대한 주요한 외국의 위협은 바빌로니아 사람들로부터 왔다. 비록 바빌로니아가 기원전 568년에 잠깐의 내전 동안 이집트를 침략했지만, 그 나라들은 기원전 547년에 제3의 권력인 페르시아 제국의 증가하는 위협에 대항하여 동맹을 맺었지만, 소용이 없었다.

페르시아는 기원전 539년에 바빌로니아를, 그리고 기원전 525년에 이집트를 정복했고, 사이테 왕조를 종식시키고 이집트의 토착민 통제를 가져왔다.

 

Apis Bull Statuette, Late Period, 664–343 B.C.

 
페르시아 시대 (기원전 525년–404년)

이집트의 새로운 페르시아 영주들은 파라오라는 전통적인 타이틀을 채택했지만, 그들 이전의 리비아인들과 누비아인들과는 달리, 그들은 이집트인이 아닌 외국인으로서 통치했다. 국가로서의 2,500년 역사에서 최초로, 이집트는 더 이상 독립하지 않았다. 

비록 이집트 왕조인 왕조 27로 인정되었지만, 페르시아인들은 지역 토착 지도자들의 도움을 받아 사트랍satrap이라고 불리는 거주민 통치자를 통해 통치했다.

페르시아의 지배는 사원들과 공공 사업들을 짓고, 법적인 체계를 개혁하고, 경제를 강화한 다리우스 1세 (기원전 521–486) 하에서 실제로 이집트에게 이익이 되었다.

그리고 페르시아 왕조는 물이 먼 거리에 걸쳐 그리고 금지된 증발 없이 터널을 통해 수로로 흐르도록 허용하면서, 이란에서 이집트 서부 사막까지 Qanat 관개 시스템을 도입했다.

그러나 기원전 490년 마라톤에서 그리스인들에 의한 페르시아의 군사적인 패배는 이집트에서 저항에 영감을 주었고, 그 후 거의 한 세기 동안, 주로 델타에서, 일련의 이집트 현지 왕들에 의해 페르시아의 통제가 도전을 받았다.
 

Antelope Head, Late Period, 525–404 B.C.

 
왕조 28–30 (기원전 404–343)

기원전 404년, 이 통치자들의 연합이 그들의 주인들을 무너뜨리는 데 성공했다.

기원전 404년부터 399년까지 이집트는 전통적으로 왕조 28의 유일한 파라오로 인정받는 사이스의 아미르타이오스 2세에 의해 지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배는 그리고 나서 20년 동안 (기원전 399년–380년) 동쪽 델타 도시 멘데스에서 왕조 29에, 그리고 마침내 델타 중기의 도시 세베니토스에서 왕조 30에 넘어갔다.

왕조 30의 첫 번째 왕인 넥타네보 1세 (380–362 B.C.)는 왕좌에 오른 직후 페르시아의 공격을 물리쳤다. 

그의 통치 기간의 남은 몇 년은 꽤 평화로웠고 넥타네보 2세 (360–343 B.C.)에 의해 훨씬 더 웅장한 규모로 계속된 야심찬 사원 건설 계획에 의해 특징지어졌다. 

후자의 왕은 기원전 351년에 페르시아의 또 다른 공격을 가까스로 막았지만, 기원전 343년에 세 번째 공격이 성공했고, 이집트는 다시 한번 페르시아에게 넘어갔고, 그들은 차례로 기원전 332년에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패배했다.

이 마지막 침략은 그들 자신의 나라에 대한 이집트의 통제에 대한 죽음의 타격이었다. 

놀랍게도 저때 몰락한 이집트는 이후 더는 기지개를 켜지 못했다. 지금까지도...

이집트의 유산이라 해서 그 찬란한 고대 이집트를 제외하고는 볼 게 없다는 이 슬픈 현실, 수에즈운하와 시나이전쟁 말고는 볼 게 없다는 이 처참함, 아스완 댐과 나세르 독재 말고는 말할 게 없다는 이 당혹을 무엇으로 설명한단 말인가? 

망해도 이리 쫄딱, 폭삭 망할 수 있단 말인가? 

언제까지 과거로 먹고 살 수는 없다.

이집트학을 하는 사람들도 그 찬란함만을 팔아먹느라 여념이 없다.

그들이 팔아야할 것은 그 찬란한 문명이 왜 망했으며, 그 망한 이후 어떠하며 그 오늘이 또 어떠하고 미래가 어떠해야 할 것이 아니겠는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