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절정을 구가한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는 왜 동시 몰락했는가?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4. 9. 11.
반응형

 
등고선 개념을 강조한 지도다. 메르카도르 지도라 실제 크기를 반영하지는 않는다. 

똥색이 짙을수록 고도가 높다. 

이걸 보면 적어도 등고선이라는 개념에서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이집트 나일강 유역은 일정한 공통분모가 있다. 

둘 다 큰 강을 낀 충적대지를 중심으로 동시대 다른 지역에 견주어 훨씬 일찍 그것도 고도로 발달했다. 

문제는 그 다음

마라톤으로 치면 42.195킬로미터 중 전반기 10킬로미터 구간은 열라 속도를 내서 열라리 다른 주자들 따돌렸다. 

한데 금방 지쳐버렸다. 나가 떨어졌다. 

한 번 나가 떨어지고선 도대체 회복을 몰랐다. 

신기하게도 두 지역은 동시에 급속도로 몰락했다. 짜맞춘 듯이 몰락했다. 

왜 몰락했을까?

저 시대 저 지역을 연구하는 역사가들은 이제 이 물음에 대답해야 한다. 

왜 쫄딱 망했는가?

얼마나 쫄딱 망했기에 쫄딱 망하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물경 2천500년이나 회복을 하지 못하고 빌빌 싸는가? 이를 물어야 하고 이를 대답해야 한다. 

하지만 저 시대 저들을 파고든 이들(우리는 그들을 대체로 역사가라 이름한다)은 상찬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저들이 얼마나 고도하는 문명을 구가했으며, 그것을 개척했고, 그렇게 구축한 고도가 훗날 세계 문화사에 어떤 족적을 남겼는지 그 화려 찬란 영광만 이야기하느라 혼을 빼앗겼다. 

왜 그랬을까? 그걸로 장사가 됐기 때문이다. 굳이 흥행성 없은 패배 몰락을 이야기할 이유가 없었다.

그만큼 저 땅 저 두 제국은 언제나 달콤과 영광, 언제나 세계 최초를 선사했기에 굳이 왜 재미없는 결말을 이야기하겠는가?

나는 저에서 역사가의 음모를 본다. 죽음을 빼버리고 청년기만 하이라이트로 주구장창 틀어댔다. 
 

 
내가 보건대 그 결정적인 하자는 폐쇄성에 있다. 자급자족 시스템을 구비한 두 지역 사회가 공통으로 봉착한 문제였다. 

두 지역은 실상 그 자체 완비한 구조 혹은 그에 가까워서 외부 수혈이 필요가 없었다.

지들끼리만 해도 잘, 혹은 그런 대로 먹고 살았다. 

그렇게 해서 모아둔 돈 펑펑 쓰며 호의호식하며 잘 지냈다. 

그 국고가 이내 바닥 났다. 

한창 잘 나갈 때 비축해둔 창고가 이내 텅텅 비고 말았다. 

다시 일어서려 했을 때, 문제는 이 이웃 헐벗은 채 호시탐탐 힘을 키우던 세력이 이제 힘이 빠진 사자 두 마리를 가만두지 않았다. 

하이애나처럼 떼로 덤벼들었다. 
저들은 저 산을 타고 물밀 듯이 쳐들어왔으며, 저 사막을 건너 나일강 유역을 침범했다. 

어느 누구도 힘 한 번 제대로 쓰지 못하고 맥없이 당했다. 

청말 중국이 그렇게 맥없이 꼬꾸라졌듯이 늙은 제국 이집트와 오리엔트는 그렇게 무너졌다. 

저 자급자족이 가능한 폐쇄하는 구조, 나아가 그런 까닭에 밖으로 나갈 이렇다 할 이유가 없었던 그들은 집구석에서 마지막 성찬을 즐기다 맥없이 나가 떨어졌다. 

안주는 죽음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