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로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고, 자동 번역 기대어 옮겼지만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다. 그림만 봐주라.
2024년 7월, 산서성 임분시临汾市 요도구尧都区 만달광장万达广场 프로젝트(1기) 건설에 즈음해 산서성 고고연구원과 임분시 문물고고공작첨이 구성한 공동 고고팀이 해당 부지를 발굴조사한 결과 당, 금원, 명청 시대 무덤 51기를 정리했다.
개중 M20라고 이름한 무덤은 원나라 시대 만든 연대가 확실한 벽돌 조각 벽화 무덤[纪年砖雕壁画墓]으로 드러났다.
무덤 윗부분은 부분로 파괴되었지만 나머지 부분은 완전했다.
이 무덤은 장계단 묘도를 갖춘 사각형 단일실 벽돌 무덤[长台阶墓道方形单室砖墓]이다. 묘도墓道, 묘문墓門, 복도[용도甬道], 묘실墓室 네 부분으로 구성되며, 방향은 201°다.

묘도墓道 는 무덤방 남쪽에 있는 긴 계단 모양이다. 북쪽은 넓고 남쪽은 좁으며 입바닥은 같은 너비, 곧은 벽, 벽은 비교적 가지런하다.
길이 7.17, 너비 0.43~1.17m, 지표면으로부터 1.4m, 최대 깊이 4.27m다.
묘도에서 발견된 생토 계단은 총 13단이다. 계단 높이는 다양하며, 묘문 근처는 1.81미터가 평평한 바닥이다.
채운 흙은 황갈색 화토花土로 흙이 부드럽고 벽돌 조각, 회백색 입자, 식물 뿌리줄기 등을 포함한다.
묘문墓門 은 묘도 북쪽 끝에 위치하며, 높이는 2.35미터, 너비는 1.35미터이고, 현재 묘 입구에서 1.92미터 떨어져 있다.
문구멍门洞은 벽돌로 쌓은 아치형 문이며 높이 1.42, 너비 0.93미터다.
안쪽 벽돌은 깍둑썰기砖丁砌하고 바깥쪽은 벽돌로 틈새를 메우고 문을 봉인했다.
문 벽돌 남은 높이는 23층, 잔고는 1.83, 너비는 1.29, 두께는 0.15m다.
문 위는 벽돌 조각 목조 문루를 쌓았으며[砖垒砌的拱形门], 단첨 경산 정상单檐硬山顶으로 너비는 1.35미터, 출첨出檐은 17센티미터다.
아치형 문 위쪽 양쪽에 처마 기둥檐柱을 조각하고 사각 기둥을 다듬었다方柱抹棱. 양쪽 처마 기둥 바깥쪽에는 검은색 새치기雀替가 그려져 있고, 처마 기둥 위에는 阑额을 받치고, 阑额 위에는 보백방阑额, 보백방 위에는 파두교항조把头绞项造 두공斗栱 3조가 있으며, 그 중 기둥머리柱头는 2조, 보간补间은 1조, 栱 위에는 료橑 처마방橑檐枋, 橑 처마방 위에는 서까래方椽를 올려 고르게 배열했으며, 서까래方椽 위에는 기와를 올려 지붕을 덮었다.
栌斗、散斗斗欹内?,齐心斗略同;泥道栱栱端卷杀;昂为蚂蚱头。椽条、斗栱施黄彩,黑彩勾边。(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용도甬道 는 벽돌을 아치형 구조로 쌓았으며 남북 길이 0.93, 동서 너비 0.92미터다.
복도벽은 벽돌로 엇갈리게 또는 평평하게 쌓고砖错缝平砌, 무덤 바닥에서 1.02미터부터 기권起券한다.
바닥 벽돌은 남북 방향으로 약간 엇갈리게 평평하게 펴져 있으며, 문을 닫은 곳에 동서로 평평하게 놓여 있다.
복도 북쪽 끝은 묘실 내부 상부를 통해 벽돌 내부를 갈아서 궁중문 스타일로 만들고, 검은색과 노란색 채색을 입혔으며, 높이는 1.36미터, 너비는 0.92미터다.
묘광墓圹 은 평면 둥근 모서리 사각형圆角方形에 직벽圆角方形으로 동서 길이 3.5, 남북 너비 3.45, 깊이 5.67미터다.
묘실墓室은 광圹 안에는 청벽돌青砖로 묘실을 쌓았으며, 벽돌실은 목조건축을 흉내낸 구조로, 용도 북쪽 끝에 위치하고 바닥 평면은 사각형다.
묘실 남북 길이는 3.36, 동서 길이는 3.36미터이며, 묘 바닥은 꼭대기에서 4.06미터 떨어져 있다.
묘실 네 벽, 기권처起券处 및 상단에는 모두 벽돌 조각과 벽화가 설치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다.
묘실 남쪽 벽은 묘문이 위치한 면으로, 너비는 3.18, 높이는 2.21미터, 동쪽 벽은 너비는 3.15, 높이는 2.23미터, 서쪽 벽은 너비는 3.18, 높이는 2.21미터, 북쪽 벽은 너비가 3.2미터다.


묘실 내에는 벽돌들이 엇갈리게 깔려 있으며, 북쪽 절반에는 벽돌 받침대砖台가 설치되어 있고, 높이는 0.34미터, 너비는 3.37미터다.
벽돌대 위에 세 겹 벽돌로 엇갈려 평상을 만들고, 평상 면은 네모난 벽돌로 깔았으며, 남쪽에는 세 개 여의다리如意腿가 보인다.
관 받침대[관상棺床]은 길이 3.36, 폭 1.2, 높이 0.25m다.
관받침대 위에는 불에 탄 인골 잔해가 보이고 명백한 장례 도구가 보이지 않으니 응당 화장했을 것이다.
관 받침대는 동쪽과 서쪽, 그리고 북쪽에 위병围屏을 치고 검은색 페인트를 칠했으며, 위병围屏 아래 좌우에 뿔 이빨角牙을 쌓았다.
동쪽 위병 안에는 붉은 색채가 보이며, 박락이 심해 내용은 불분명하다.
위병에 사용된 청벽돌은 길이 44, 너비 30.5cm다.
묘실 꼭대기는 부분적으로 파괴된 팔조정八藻井 모방 우물 형태다.
묘실 벽면 구조와 장식은 크게 하, 중, 상 세 층으로 나눌 수 있다.
하층: 북벽 한가운데에 직사각형 창长方形窗을 조각하여 '卍'자 무늬를 장식하고, 창 양쪽에는 각각 수묵 두루마리 그림水墨卷轴画이 장식되지만 심하게 박락되고 내용이 불분명하며, 서쪽 아래는 부분적으로 붕괴되었다.
동벽은 관상棺床 가까이에 반닫이문半启门을 설치하되, 문은 전체적으로 붉은색으로 칠하고, 문에는 3열 7열 노란색 문못门钉을, 위쪽 양 귀퉁이에는 노란색 테두리箍头를, 가운데에는 노란색 문고리门环 한 쌍을, 판문板门 왼쪽은 약간 열었다.
문 위에는 붉은색 휘장帷幔을, 휘장 아래에는 권렴卷帘과 커튼 갈고리帘钩를 설치하고, 커튼은 검은색 테두리边框를 말아서 가운데에 노란색을 칠하고, 커튼에는 붉은색 세로줄 12개를, 커튼 갈고리는 검은색이다.
문과 롤스크린[卷帘] 양쪽에는 각각 한 폭 두루마리 그림이 조각되어 있으며, 그림 위쪽 중앙에는 노란색 경연惊燕이 있고, 그림 중심에는 검은색 문양이 있다.
북쪽 두루마리 그림에는 소나무, 남쪽 두루마리 그림에는 대나무 새 그림이 있다.
남쪽 두루마리 그림 아래에는 직사각형 탁자[桌]를 조각하여 장식하였으며, 탁자 위에는 붉은색을, 탁자 몸체에는 검은색을 칠하였다.
책상桌은 곧은 다리[直腿]로 枨의 납작한 머리[枨平头案]를 따라 발[足] 상단에 랙[牙条]을 삽입하고 랙 양쪽에 치두[牙头]를 만들고 전면에 쌍으로 된 스트레처double stretchers[雙枨]가 있으니 그 모양은 턱받이와 끼워맞춤 조인트와 비슷하다[类夹头榫]. 책상은 길이 89, 너비 30.3, 높이 65.6cm다.
탁자 중앙에 백자잔을 놓았다.
서쪽 벽 장식 내용은 동벽과 비슷하다. 서벽 판문 오른쪽 문이 살짝 열렸다.
탁자 중앙에 검은 유약을 바른 도자기 대야黑釉瓷盆를 놓았다.
남쪽 벽 복도 위에는 현판黑釉瓷盆이 설치되어 있고, 외부 테두리는 검은색으로 칠했으며, 현판 안 글씨는 훼손이 심하지만 남은 흔적으로 보아 '远图片'으로 추정된다.
호문壸门 위 양쪽에는 깨진 창문破子棂窗이 설치되어 있으며, 깨진 창문은 세로로 5개이고 검은색으로 칠했다.
동쪽 창 밑에는 세면대盥洗衣架, 대야盆 및 분가盆架가 조각되었으며, 서쪽 창 밑에는 등잔대와 네모난 의자가 모두 붉은 물감으로 표현됐다.
옷걸이는 가로 '丁'자 모양이라, 가로대横杆와 세로대纵杆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가로대 왼쪽 끝은 꽃머리花头, 세로대의 상단에는 거꾸로 된 연잎莲叶, 하단에는 연꽃받침莲花座이 있으며, 가로대와 세로대 사이에는 구름무늬 화아[卷云纹花牙]가 조각되어 있다.
세로 막대는 긴 막대 모양 플레이트板에 장착되며 플레이트 상단과 하단은 음양 여의운두[阴阳如意云头] 모양이다.
화분 받침대盆架는 세 개 굽은 다리三曲腿로 바깥쪽은 권족卷足하다.
등잔대 상단은 여의운두상如意云头状을 하며, 등반灯盘 직경은 14.9, 높이는 4.9cm다.
등잔대 아래에는 허리가 없는 곧게 뻗은 枨의 작은 사각 의자小方凳가 있으며, 호문식 아판壸门式牙板은 네 발 하단이 약간 바깥쪽으로 벌린 상태다.
묘실 네 벽 모서리에는 검은색으로 칠한 네모난 모서리 기둥이 장식된다.
주두柱头에 오포五铺를 받치고 栱은 수직 기둥을 삽입하고 동시에 5겹 떫은 기둥이 겹겹이 쌓여 있고 수직 기둥은 사각 모서리 기둥으로 검은 색을 입히고 노란색 색을 입히고 검은색과 흰색 색으로 구성 요소의 가장자리를 그린다. [墓室四壁转角处装饰绘有黑彩的四方抹棱柱。柱头上承五铺作斗栱出挑斡插垂柱,同时逐层叠涩五层内收;垂柱为四方抹棱柱,涂黑彩;铺作均施黄彩,并用黑彩与白彩勾画出构件边缘轮廓。무슨 소린지 모르겠음]
중간 층은 평면이 팔각형이고 묘실 네 벽과 모서리에 阑额과 보백방普柏枋이 있고 그 위에 모서리/기둥柱头과 단보간두공单补间斗栱 16개 그룹이 있으며 두 栱은 모두 5포작五铺作이다.
모서리에는 검은색으로 칠한 노두 처마기둥露头的檐柱이 있다.
阑额과 보백방은 노란색으로 칠하고고, 검은색과 흰색은 윤곽을 그린다. 고르게 펴서 노란색으로 채색하고 검은색과 흰색으로 구성 요소의 가장자리 윤곽을 그렸다.
栱 안벽眼壁은 위아래로 두 겹으로 만들고 위층은 안쪽으로 모으고 흰색은 바탕에 바르고 검은색과 노란색은 가장자리를 만들었다.
두공옥 상부에는 橑檐枋을 놓고, 橑檐枋 위에 수판방随瓣枋을 올려놓고, 수판방 위에 일주 상운一周祥云을 조각했다.
橑檐枋과 수판방은 노란색으로 칠하고 검은색과 흰색은 윤곽을 그렸다.
상운祥云이 붉게 물들었고, 흰색이 윗부분 윤곽을 그렸다.
상층: 묘실 천장 상운문祥云纹 위에는 다섯 층 두팔조정斗八藻井이 있으며, 여덟 면으로 나뉘어 말아서 안쪽으로 굽는다.
교차 이중 판형 벽돌[交错重瓣状砖]로 채색했으며, 각 층마다 여덟 개 판瓣이 있다.
아래 두 층은 모두 흰 바탕에 붉은 테두리로 되어 있으며, 첫 번째 층은 인물과 화초가 얽혀 있다.
동쪽, 서쪽, 남쪽, 북쪽 사방에 화초가 있다. 난초, 진달래, 국화, 연꽃; 동북, 서북, 동남, 서남에는 네 효자 이야기가 그려져 있으며, 주제는 각각 다음과 같다.
얼음에 누워 잉어를 구하고, 아버지에게 완곡하게 권하고, 죽순을 울고, 사슴 젖으로 부모를 봉헌한다.
두 번째 층은 황토색 롤 풀이다. 세 번째와 네 번째 벽돌 조각에는 빨간색 채색 무늬만 보이고 배경색은 보이지 않으며 가장자리가 흰색이다.
다섯 번째 벽돌 조각은 가장자리를 하얗게 그렸다.
이 무덤은 벽돌 조각 외에도 총 세 가지 규격을 사용한다.
첫 번째는 벽돌로, 벽돌 뒷면에 손도장을 찍었고, 손도장 가장자리에 손가락 자국이 있으며, 길이는 30.5, 너비는 15, 두께는 5.5~5.9cm다.
두 번째는 좁은 벽돌로, 길이는 23, 너비는 15, 두께는 3cm다. 세 번째는 사각 벽돌로, 길이는 30, 두께는 6cm다.
M20에서는 흑유자기 대야黑釉瓷盆, 백자잔白瓷盏, 동경铜镜, 옥잠玉簪, 참빗木篦, 묘지墓志 등 총 8점이 출토되었다.

묘지(M20:2)는 묘실 남쪽 용도 근처에서 발견됐다. 평면은 직사각형이고 위, 아래, 왼쪽에 단음선 테두리가 있다.
뒷면은 비교적 거칠고 가운데에 3열 음선 'X'자형 장식이 분포되어 있으며, 각 열에는 4개 'X'자형 장식이 있으며, 내부에는 천무늬가 가득하고 좌우에는 각각 4개 짧고 넓은 끈무늬가 있다.
문양 오른쪽에 손자국이 있다.
가로 44.3, 세로 30.5, 두께 5.4cm다.
지문은 세로 10줄, 만행 16자, 총 136자이며, 음각, 해서체다.
글씨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명확하게 썼다.
글은 다음과 같다.
故征行千户劉公墓誌」公諱全平陽人?有勇略隱身行伍主帥」見知擢充軍府百户甞從收撫河南川陝」等處屡立奇功由是欽受」宣命超遷征行千户中統元年權成都路」征行萬户至元乙丑以壽終于成都府享」年六十一歲三子扶護其喪歸葬于臨汾」縣九州堡之新茔禮也長男濟萬户府經」歷官次男清代領父任三男德未仕」至元七年月日誌
초보 인식
M20 기년은 원대 초기 목조 건축물인 벽돌 조각 벽화 묘로, 산시 원대 초기 무덤의 단대 기준을 더욱 풍부하게 했다.
묘지에 따르면, 묘주인 유전刘全은 평양平阳 출신으로, 일찍이 군에 입대하여 하남河南, 천川, 섬陕 등지를 전전하며 여러 차례 뛰어난 공적을 세우고 주수主帅의 인정을 받아 정행 천호征行千户로 발탁되었다.
묘지 낙관落款은 지원至元 7년(1270년)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으니 매장 시기는 이보다 늦지 않을 것으로 보이거니와 묘지에서는 "至元乙丑以壽終于成都府"고 했다. “至元乙丑”, 곧 至元 2년(1265年)에 죽어 하장한 때가 至元 7年(1270年)이니 죽어 묻히기까지 5년이 걸렸다.
관상棺床에서는 화장한 재가 보이고 묘지에서 이르기를 “세 아들이 그 장례식을 扶護하여 임분현臨汾縣 구주보九州堡의 새로운 선영新茔으로 귀장歸葬”했다 하니
묘주는 성도부成都府에서 사망한 후 화장된 것으로 보이며, 5년 후 묘주의 세 아이 다시 유골을 임분에 안장했음을 나타낸다.
비록 이 무덤 윗부분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었지만, 묘실 내 벽돌 조각 벽화는 전체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으며, 정보가 풍부하고 벽돌 조각은 목재를 모방한 사실성이 강하다.
이는 산서성에서 최근 몇 년간 금원 시기 고고학의 중요한 성과로, 금말 원초의 건축 형태, 벽면 장식, 장례 풍습 등의 역사적 변천을 연구하는 데 새로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 무덤에서 볼 수 있는 다듬은 각주抹棱式角柱는 송나라와 금나라 시기에 유행했다.
묘문에서 把头绞项하여 두공斗栱을 만드는 방법은 양성阳城 지역 원대 주택에서도 볼 수 있으며 당시 민간 건축 규모와 규제 특성을 반영한다.
오포五铺로 두공을 만들어 挑斡을 내는 방식은 송나라와 금나라에서 유행한 보간두공 결구 형식补间斗栱结构形制으로, 임분 지역 동시대 무덤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금나라 말기~원나라 초기 목구조 건축과 무덤형태 연구에 큰 의의가 있다.
묘실 상단 5층 모조 팔조 우물 형태는 진남晋南 지역 금원 시대 무덤에서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익성 무지 금묘翼城武池金墓 M5는 진남 지역 금원시대 벽돌 조각 벽화 무덤에서 매우 독특한 지역 방식일 수 있다.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드 스트랩 head strap, 혹은 텀플라인tumpline, 그리고 고인류학 (1) | 2025.04.26 |
---|---|
마침내 군국郡國으로 치고 내려간 중국 역사고고학 (1) | 2025.04.26 |
실제 사용했을지도 모르는 구석기 뺀질뺀질 거시기 (1) | 2025.04.25 |
중국의 새로운 신석기 문화, 산서 심수현 팔리평 유적 (1) | 2025.04.25 |
시황제가 만들었다는 낭야대 유적 (0) | 2025.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