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현장

굿 전문 사진작가 김수남

by taeshik.kim 2018. 4. 10.
반응형

<故 김수남> 


사진작가 김수남(金秀南·1949~2006.02.04) 


1949년 제주 출생

1967년 연세대학교 입학, 연세춘추(학교신문)사 입사, 인영회(사진반) 입회

1975년 동아일보사 출판사진부 입사, 결혼

1977년 장남(김상훈) 출생

1979년 차남(김재훈) 출생

1980년 뇌 모세혈관 출혈로 입원, 퇴원 후 죽음을 의식 「한국의 굿」 촬영에 몰두(장산도 씻김굿, 김금화 만수대탁굿, 동해안 오귀굿 등)

1981년 『공간』지에 「전통의 현장」 연재 시작(봉산탈춤, 북청사자놀음, 황해도 내림굿, 제주 배연신굿, 함경도 망묵굿 등)

1982년 「한국의 굿」 사진 제작, 이때 프린트한 사진을 보고 열화당에서 출판 제의(전 20권)

1983년 『한국의 굿』 출간(『황해도 내림굿』, 『경기도 도당굿』, 『제주도 영등굿』) 및 기념 사진전 개최

1985년 동아일보 사직, 동아일보사 객원편집위원으로 위촉

1985년 제주도에 거주하며 제주도 촬영, 『수용포 수망굿』, 『평안도 다리굿』, 『전라도 씻김굿』, 『제주도 무혼굿』, 『함경도 망묵굿』 출간

1986년 『한국의 굿』으로 제 13회 「오늘의 책」 수상, 『한국인의 놀이와 제의』 3권 출간(평민사, 『풍물굿』 1권, 『호미씻이』 2권, 『장승제』 3권), 『옹진 배연신굿』 출간

1987년 『강릉 단오굿』(열화당) 출간, 『제주바다와 잠수의 사계』(한길사) 출간

1988년 『韓國心の美』 출간(일본 도쿄), 『한국의 탈․탈춤』(행림출판) 출간, 한국일보 출판문화상 수상, 일본 촬영(日本の山と海祭り) 시작

1989년 『강사리 범굿』, 『제주도 신굿』, 『양주 경사굿 소놀이굿』, 『통영 오귀새남굿』, 『서울 당굿』 출간, 『빛깔있는 책들, 팔도굿』(대원사) 출간

1989년 중국 촬영 시작

1990년 중국에서 간첩으로 잡혀 조사, 재판에서 벌금형으로 모든 필름 몰수 후 섣달 그믐날밤 풀려남

1990년 『조상제례』, 『전통상례』(대원사) 출간, 연세대학교 강사 「사진촬영과 감상」 강의(1990~1997)

1992년 『안동하회마을』(대원사) 출간

1993년 『황해도 거제도 별신굿』, 『위도 띠배굿』, 『지노귀굿』, 『서울 진오귀굿』(열화당 출간), 「한국 현대사진, 관점․중재」 그룹전, 사진집 『濟州道』 3권 출간(國書刊行會, 일본 도쿄)

1995년 「히가시가와(東川) 사진상」 해외작가상 수상, 수상 기념 사진전 「한국의 무속」 개최, 김수남 사진전 「아시아의 하늘과 땅」 개최 및 사진집 『아시아의 하늘과 땅』(타임스페이스) 출간

1996년 『아시아의 하늘과 땅』으로 한국일보 출판문화상 사진부문 수상

1997년 김수남 아시아 문화탐험 『변하지 않는 것은 보석이 된다』(석필) 출간, 「삶의 경계」 전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참가

1998년 「Schamaninnen in Korea」전 참가(함부르크 박물관, 독일)

1999년 김수남 사진전 「살아 있는 신화 ASIA」 개최, 『살아 있는 신화 ASIA』(연세대 박물관) 출간,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 대학원 강사(1999~2000)

2002년 경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특별연구원 역임, 방송통신대학교 교재 『여가와 삶』 사진부문 「사진찍기와 자기표현 또는 자기발언」 저술

2003년 시베리아 이루쿠츠크에서 위출혈로 수술

2004년 『아름다움을 훔치다』(디새집) 출간, 『한국의 굿』 2005년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출품될 ‘한국의 책 100’에 선정, 2004 아시아 전토예술 페스티벌 「신의 얼굴」 전시 개최

2005년 「빛과 소리의 아시아」 전시회 개최(인사아트센터), 「Schamaninnen in Korea」 개인전 개최(베를린 Werkstatt Der Kulturen), 사진집 『굿-영혼을 부르는 소리』(열화당) 출간, 영문판 사진집 『Gut-Shamanic Ritual Ceremony』(열화당) 출간, 「한국의 굿-만신들 1978~1997」 전시 개최 및 사진집 『한국의 굿-만신들 1978~1997』 출간

2006년 태국 치앙라이에서 별세, 김수남기념사업회 창립, 옥관문화훈장 추서

2007년 「김수남 사진굿 魂」 전시 개최(이사아트센터), 『김수남 사진굿 魂』(현암사 출간), 사진집 『김수남』(김수남기념사업회) 출간 


<김수남이 포착한 제주영등굿 한 장면>


2006.02.06 09:20:48 

굿 사진 전문작가 김수남씨 별세


(서울=연합뉴스) 조채희 기자 = 한국의 굿을 찍어온 다큐멘터리 사진작가 김수남씨가 4일 태국 치앙라이에서 현지 부족의 신년 축제를 사진으로 담다가 뇌출혈로 별세했다. 향년 57세.

1949년 제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연세대 지질학과, 동아일보 사진부를 거쳐 70년대 말부터 현장을 찾아 발품을 팔며 굿 사진을 찍어왔다.

1983년부터 1993년까지 전 20권에 걸쳐 펴낸 방대한 사진집 '한국의 굿'은 고인의 굿 사진을 집대성하는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2005년에 ‘굿, 영혼을 부르는 소리’로 압축돼 출간됐다. 

고인은 1995년 일본에서 권위있는 국제사진상인 히가시카와(東川)상을 받았고 독일 베를린, 함부르크에서 초대전을 여는 등 한국의 민속기록들을 해외에도 널리 소개해 왔다.

마침 경기도 양평의 사진 갤러리 와(瓦)에서 ‘한국의 굿: 만신들 1978-1997’을 주제로 12일까지 열리고 있는 사진전은 고인의 갑작스러운 별세로 유작전이 됐다.

내림굿을 받고 무아지경에서 고개를 젖힌 채 춤을 추는 무속인, 망자의 한을 풀기 위해 매듭을 풀고 있는 씻김굿, 시퍼런 물결이 일렁이는 제주 바다에서 수호신에게 인사를 드리기 위해 배를 띄운 어민 등 서글프면서도 매혹적인 순간들을 포착한 고인의 땀방울이 묻어나는 기록물들이다.

빈소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8일 오전 9시. 유족은 부인 이희영 여사와 상훈(동아일보 경제부 기자), 재훈(교통물류연구원 연구원) 두 아들이 있다.

☎02-6225-9631, 02-2072-2018. 

(끝)



<김수남이 포착한 인도 라다크>


2015.01.30 10:59:41 

<민속 현장과 함께한 사진작가 김수남>

국립민속박물관·네이버 문화재단, 사진 17만컷 정리·활용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사진작가 일생을 민속 현장 담기에 투신한 사람이 있다. 

고 김수남(1949~2006). 제주 태생으로 연세대 입학해 사진반인 ‘인영회’에 들어가 활동하다 1975년 동아일보사 출판사진부에 입사했다. 1980년 뇌 모세혈관 출혈로 입원했다가 퇴원한 뒤 ‘한국의 굿’ 촬영에 몰두해 장산도 씻김굿, 김금화 만수대탁굿, 동해안 오귀굿 등을 사진에 담았다. 

이후 그는 한국 민속, 특히 굿 현장을 담는 일에 몰두한다. 도서출판 열화당에서는 전 20권 기획인 ‘한국의 굿’ 출판을 제의하게 되며 1983년 그 일환으로 ‘황해도 내림굿’ ‘경기도 도당굿’ ‘제주도 영등굿’이 나온다. 

1985년 동아일보를 사직하고 같은 회사 객원편집위원으로 위촉된 김수남은 그 해에 고향 제주도에 정착하며 ‘수용포 수망굿’ ‘평안도 다리굿’ ‘전라도 씻김굿’ ‘제주도 무혼굿’ ‘함경도 망묵굿’을 내놓는다. 

이후 그의 촬영 무대는 외국으로 옮겨간다. 1989년 중국 촬영을 시작했다. 하지만 이듬해 중국 땅에서 간첩으로 몰려 조사를 받고 재판 끝에 벌금형을 받고는 촬영한 모든 필름을 몰수당하고 그해 섣달 그믐날 밤에 풀려나기도 한다. 

2003년 시베리아 이루쿠츠크에서는 위출혈로 수술하기도 했으며, 그러다가 2006년 태국 치앙라이에서 별세한다. 

국경을 넘어 세계 민속현장을 카메라에 포착하고자 한 그의 열망은 17만 컷에 달하는 사진으로 남았다.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천진기)과 네이버 문화재단(대표 오승환)이 김수남이 남긴 사진 자료 정리와 활용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두 기관은 지난 26일 박물관 대회의실에서 고 김수남 사진작가 유족을 대표해 고인의 아들 김상훈 씨와 ‘김수남 사진작가 사진의 정리 및 활용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말 유족은 김수남이 촬영한 국내외 민속 사진을 민속박물관에 기증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필름 및 인화지 형태다. 

협약에 따라 기증 처리 절차와 전문적인 내용 조사는 박물관이 맡아 진행한다. 이미 네이버 문화재단에서는 이들 사진에 대한 고해상도 스캔을 완료하고 그 일부 설명도 작성한 상태다. 현재 네이버 미술작품 웹페이지에서 사진 중 일부는 감상 가능하다. 

내년은 고인이 타계한 지 10주기가 된다. 

이에 민속박물관은 사진 특별전을 개최하며, 네이버 문화재단에서는 온라인 사진 특별전을 연다. 

나아가 향후 두 기관은 이들 사진 자료를 공익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협력하기로 했다.

taeshik@yna.co.kr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