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기를 거쳐간 경상도관찰사가 무릇 기하幾何랴만,
지금 내 머릿속에는 딱 둘만이 떠오른다.
하나는 산천초목이 떨었다는 어사 박문수요, 다른 하나는 관찰사 아버지를 따라 왔던 명필 김정희다.



여기에 자취 하나 남기지 않은 그들만이 떠오르고 저 두툼한 비석의 주인공들은 비를 보고서야 아 이 사람이 왔었구나 싶은 걸 보면,
과연 역사의 평가는 어떤 비석이나 마애명보다 깊게 새겨진다는 것을 알 수 있지 않은가.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몰년을 복원한 장영실, 믿을 만은 한가? (0) | 2023.12.15 |
---|---|
소가 뿔을 갈던 봉덕사종, 매월당 김시습이 증언하는 15세기 성덕대왕신종 (0) | 2023.12.02 |
골동서화 자랑에 여념없는 박영철 (0) | 2023.11.30 |
파발 봉수를 퇴출한 전보 왕국, 138년 만에 막 내린다 (0) | 2023.11.23 |
처음 찍은 게 맞다 (0) | 2023.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