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등자의 발명이 곧 기병의 출현으로 이어졌다는 것인데
앞에서 본 바와 같이 마왕퇴 백화에는
기원전 2세기에 이미 전차를 끄는 말보다 기병의 군마가 훨씬 많은 수가 있었다.
이는 사실 당연한 일로 전국시대 조 무령왕은
말타기 편하라고 옷을 바꾸어 입었다는 것이라
기병의 출현과 등자의 발명은 별 상관없다는 것을 알 수 있겠다.
물론 이 기병이 등자가 나온 시대의 기병과는 다른 전술을 썼을 것 같다는 생각은 필자도 하는데,
막연히 등자가 나와야 기병이 나온다는 생각은 잘못이란 뜻이다.
사기 조선전에 보면 위만조선이 조선 토벌에 나선 한나라에 태자를 사신으로 보내 사죄하면서 앞으로 말 오천 마리를 바치겠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 말 오천마리는 전차를 끌었겠는가 아니면 기마용으로 쓰였겠는가
필자는 이는 기마용 말이었을 것이라 본다.
*** 편집자주 ***
뻥이 섞였을 가능성도 고려해야겠지만, 위만조선이 한나라에 복속하는 조건 중 하나로 말 5천 필을 바치겠다는 저 말 말이다. 도대체 위만조선은 어떤 목초지를 저리 광대하게 거느렸기에 말 오천 필을 내놓을 수 있었겠는가?
평양? 웃기는 소리다.
반응형
'미라 이야기 > 마왕퇴와 그 이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왕퇴와 그 이웃-127] 마왕퇴를 떠나 "그 이웃"으로 떠나며 (0) | 2025.05.06 |
---|---|
[마왕퇴와 그 이웃-125] 잡아 먹기도 하고 타고 다니기도 한 말 (0) | 2025.05.06 |
[마왕퇴와 그 이웃-124] 고대 문명 자격이 있는 중국문명 (0) | 2025.05.06 |
[마왕퇴와 그 이웃-124] 귀부인이 드시던 대추 (0) | 2025.05.05 |
[마왕퇴와 그 이웃-123] 복숭아 이야기 (0) | 2025.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