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이래 문화재관리국 시대를 포함해 2018년 차관급 문화재청에 이르기까지 역대 문화재관리국장과 문화재청장 중 소위 전문가에 속하는 국장 청장은 내 보기에는 딱 한 명이 가장 근접한다. 고 정재훈 국장이 그 사람이다.
기타 중에는 소위 문화재 전문가로 분류하는 국장 청장이 있지만 아래와 같은 이유들로써 흔히 문화재 전문가로 분류하는 어느 누구도 전문가로 분류할 수는 없다.
역대 문화재 수장 중 현재까지는 아마도 가장 유명한 유홍준? 미술사나 좀 알고 답사 좀 했을 뿐이지, 무슨 '문화재' 전문가이겠는가?
이건무? 젊은 시절 발굴 좀 해 봤고, 박물관 경영을 좀 해 봤지, 무슨 '문화재' 전문가이겠는가?
최광식? 문헌사학자로 삼국시내 전공자로, 대학박물관장 경험한 사람이지 무슨 '문화재' 전문가이겠는가?
변영섭? 생평 대학교수로 지낸 미술사가로 반구대 암각화만 좀 신경썼지 그가 무슨 '문화재' 전문가이겠는가?
나선화? 도기나 자기 연구자로 이화여대박물관에서 생평을 보낸 인물로 그가 무슨 '문화재' 전문가이겠는가?
이들이 해당 분야 전문가라는 사실은 인정한다 해도, 그것이 곧 그들이 문화재 전문가임을 보이는 보증수표는 아니다. 아래서 다시 상론하듯이 저들이 저런 일을 투신한 것과 '문화재를 한다'는 개념은 전연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그 광범위한 문화재 행정을 두루 경험하고, 고고학과 조경, 건축학 등등에 실로 광범위한 실무 경험과 연구업적을 축적한 정재훈 국장이야말로 소위 말하는 문화재 전문가에 제일로 근접한 사람이다. 정 국장과 더불어 정기영 국장도 이에 포함할 만하다.
함에도 그 수장을 두고 틈만 나면 전문가 타령이다. 인사철만 되면, 혹은 그 경질 무렵이면, 전문가가 와야 한다는 당위가 정답처럼 군림한다.
문재인 정부 초대 문화재청장으로 정통 문화재 관료인 김종진씨가 경질되고 근자 소위 문화 전문 언론인 출신 정재숙 문화재청장이 등장하자 소위 문화재 전문가 그룹 일부에서는 몹시도 이에 불만을 품고는 그가 '전문가'가 아니라고 매도하기도 했다.
그 집단을 보니, 가관인 점이 그네들 역시 문화재 전문집단이 전연 아니라는 사실이다. 문화재 전문가 집단이 아닌 사람들이 그들 자신은 자연 문화재 전문가 집단이라는 의식을 바탕에 깔고는 문화재 정책 수장은 문화재 전문가가 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착각한다. 땅 파는 고고학 하면, 불상 연구하는 미술사학자라면, 건물지 연구하고 조사하는 건축사학자라면, 문화재를 보존수리하는 보존과학도라면, 그것이 문화재 전문가임을 입증하는 보증수료라고 착각한다.
하지만 이는 커다란 착각이요 오만이다. 그런 일을 하는 행위를 고고학을 한다, 미술사를 한다, 건축사를 한다, 보존과학을 한다고 표현할 수 있을지언정 그들이 각기 하는 일이 결코 문화재를 하는 일일 수는 없다. 그 무수한 문화재를 하는 행위 중 항하의 모래알 같은 작은 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실로 오만방자하게 자기네가 문화재를 한다는 말을 하며, 자기네가 문화재 전문가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문화재와 고고학은 다르다.
문화재와 미술사학은 다르다.
문화재와 건축사학은 다르다.
문화재와 보존과학은 다르다.
고고학을 하는 행위가, 미술사학을 하는 행위가, 건축사학을 하는 행위가, 보존과학을 하는 행위가 문화재를 하는 행위 광의에 포함될 수 있을지언정, 그것이 곧 문화재를 하는 일 전반을 커버할 수는 결코 없다. 그만큼 문화재를 한다는 행위나 개념은 더욱 포괄적이고 광의적이며 추상명사이며 집합명사다.
문화재청장은 고고학을 하는 사람이 아니다. 고고학도 출신 이건무가 문화재청장을 역임하기는 했지만, 청장이 된 이건무는 결코 고고학자일 수는 없다. 그는 무수한 문화재정책을 입안하고 그것을 결정하는 지위와 역할이 주어졌다.
물론 역대 청장 중에 소위 전문가로 분류하는 사람들이 이런 본분을 망각하고, 해당 분야 전문가 행적을 버리지 못한 이가 있으니, 이 경우 예외없이 문화재 정책이 울트라 난맥상을 보였다는 사실은 문화재를 한다는 것과 앞에 든 저와 같은 일을 한다는 것이 얼마나 왕청난 차이가 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반구대에 올인한 변영섭은 그 자신이 문화재청장이 아니었으며, 청장이 된 이후에도 여전히 반구대 운동가였을 따름이다. 그의 시대에 문화재 정책이 난맥상을 보인 까닭은 청장이 종래의 개벌 전공, 즉, 반구대를 망각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작금 고고학계에서는 발굴행정 때문에 난리인데, 그 난맥상 뿌리를 연 시대가 공교롭게도 고고학도 출신 이건무 청장 시대였다는 점을 어찌 설명하려는가?
덧붙여 위에 언급한 사람들이 잘 봐줘서 문화재 전문가라고 하자. 그렇다면 그들이 문화재 전문가여서 저들 시대 한국 문화재행정이 꽃을 피웠다고 할 수 있는가?
내 보기엔 행정 관료 출신, 혹은 군발이 출신 수장들에 견주어 하나도 나을 바가 없고, 외려 퇴보한 시대였다고 간주한다.
당신들이 말하는 문화재 전문가가 과연 무엇인지, 심각히 곱씹어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문화재와 고고학은 다르다.
'ESSAYS & MISCELLAN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리중심주의의 소산 가차(假借) or 통가(通假) (1) | 2018.09.16 |
---|---|
지자체 학예직은 지역토호? (0) | 2018.09.10 |
문화재청의 지방청 움직에 대하여 (0) | 2018.09.09 |
창덕궁이 자연과의 조화? (2) | 2018.09.02 |
영어 번역이 안 되어서일까 번역할 글이 없어서일까? (2) | 2018.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