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본인 중도광곡中嶋廣谷이라는 사람의 《광곡서첩廣谷書帖》이라는 탁본을 보고 있다.
필법이 보통이 아니거늘 쓴 글도 소식의 〈기승천사야유 記承天寺夜遊〉로다.
안정安政 6년[1859] 발跋이 있는데, 中嶋廣谷이 어떤 이인지 검색해도 알 수가 없다.
*** editor's note ***
중도광곡中嶋廣谷은 아마도 나카지마 히로타니 정도로 읽었을 법하다.
출판자 신원은 물론이고 어디서 출판했는지도 불명인 미스터리다.
기승천사야유 記承天寺夜遊란 승천사라는 절을 무대로 삼은 야유회를 읊은 글이라는 뜻이다.
반응형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호관 이인상이 전서로 읊은 도연명 (0) | 2023.12.25 |
---|---|
친경례親耕禮, 궁구해야 하는 전근대 전시행정 (0) | 2023.12.03 |
서학부강총서西學富強叢書, 서양을 부강하게 만든 과학기술총서 (0) | 2023.11.23 |
이규경《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가 유전한 내력과 군밤장수 (0) | 2023.11.19 |
흑국黑菊, 검은 국화 (0) | 2023.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