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장면을 소개하기를
From the grave of Menna, the agricultural scribe of the Pharaoh. Scene: Threshing of grain. c. 1422-1411 BCE
라 하거니와,
고대 이집트 파라오 서기관 사관을 지낸 멘나 라는 사람 무덤 벽화 한 장면으로 탈곡을 이미지화했다 하는데
저 작물은 분명 밀 아니면 보리 계통이다.
수확하는데 갈고리는 왜?
그리고 수확한다는데 소는 왜?
소 네 마리를 모는데 언뜻 저런 장면은 쟁기질할 때 적합하지 왜 수확하는데?
쟁기가 없으니 땅을 가는 장면은 아님이 분명하겠다.
현장에서 탈곡해서 바로 가마니에 쑤셔박아 곡물을 운반했나?
저 그림 표현 여러 모로 묘한 데가 있다.
농부가 수확하는 장면을 이미지화하고자 농부를 한창 익은 밀밭 위에다가 세워놨다.
언뜻 보고서는 소가 나오는 장면은 쟁기질 씨뿌리기 아닌가 했는데, 혹 모를 일이다.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구리 뒷다리 닮은 대지의 여신 (3) | 2024.09.23 |
---|---|
밀단을 도리깨질하는 중세의 농노 (2) | 2024.09.22 |
고대 그리스 쟁기질은? (4) | 2024.09.22 |
트로이 전쟁, 그 비극의 화룡점정 목마 (5) | 2024.09.22 |
시리아어 신약성서 및 비평노트와 어휘집[국립세계문자박물관] (4) | 2024.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