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은 세월이 좋아서 산동반도에서 요동반도로 이어진 장산열도 마지막 섬인
北隍城岛라는 곳도 방에 앉아서 볼 수 있다. 
여기서 요동반도까지는 불과 수십 리이며 
산동반도에서 이 섬까지도 십킬로 미터 남짓한 거리로 섬이 계속 이어져 있다. 
최초의 도작민은 이 장산열도를 따라 요동반도 남단으로 진입하여 
여기에 도작 흔적을 남기고 
동남방으로 남하하여 한반도 서북부로 진입했을 것이다. 

뒤쪽 섬은 산동반도 쪽으로 이어지는 섬으로 생각된다. 
북쪽 요동반도쪽으로는 더 이상 섬이 없기 때문이다. 

봉래각에서 요동반도로 이어지는 장산열도 섬들은 천혜의 자연항이 있었다. 
온라인의 사진에서도 잘 볼 수 있다. 

중국 쪽 소개에 아름답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것을 보면 관광지로도 꽤 인기가 있는 모양이다. 
이런 섬들이 이어져 요동반도까지 이어지니 아마 선진시대부터 신선에 대한 전설이 이곳에서 발생했을 것이다. 
*** previous article ***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 한국인의 기원과 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야요이인 논의를 시작하며 (3) | 2024.09.14 | 
|---|---|
| 봉래각 이야기(5) 벼농사는 어떻게 바다를 건넜는가 (28) | 2024.06.30 | 
| 봉래각 이야기(3) 도래인을 직시해야 한국사도 보인다 (29) | 2024.06.30 | 
| 봉래각 이야기 (2) 바다 건너 선경仙景을 찾는 사람들 (26) | 2024.06.29 | 
| 봉래각 이야기 (1) (27) | 2024.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