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비닐하우스, 제때를 선사한 농업혁명

by taeshik.kim 2020. 5. 24.
반응형

 

 

 

 

이건 아마 엄마 비닐하우스인듯 

 

 

순전히 우리 동네 기준으로 보면, 비닐하우스라는 신문물이 들어오기는 70년대 중반이다. 내가 왜 이걸 기억하는가 하면, 국민학생이던 그때 비로소 비닐하우스가 들어와, 내가 신기해서 구멍 뽕뽕 뚫었다가 엄마한테 부지깽이로 열라 얻어터졌기 때문이다. 

 

이 비닐하우스는 말할 것도 없어 여러 모로 농업혁명이었다. 지금 생각하니 신기하게도, 이농 탈농현상이 극심화한 그 시절에 들어와서는 이제는 농업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기반시설으로 정착했다. 

 

 

 

둘 중 하나가 엄마 비닐하우스. 무슨 모종인지

 

 

신기했다. 이 비닐하우스는 물론 대낮 기준이기는 해도 한겨울인데도, 그 안에는 그리 따뜻했다. 이럴 수 있냐 신통방통한 기억 지금도 생생하다. 

 

물론 비닐하우스 내부는 그 특유의 냄새 혹은 기운이 있다. 약간 텁텁한 그런 기분에다가, 지금 생각하니 공기가 통하지 않으니, 그에서 비롯하는 그 특유의 땅 냄새, 땀 냄새가 있었다. 

 

한반도에서 삶은 곧 우풍과의 싸움이었다. 한데, 그런 우풍을 이 얇은 비닐 한장이 없애주었다. 비닐의 이런 힘을 확인한 사람들은 이내 비름박에다가도 붙이기 시작했다. 

 

겨울 문고리는 쩍쩍 눌어붙었다. 구들 방구석은 아랫목만 그런대로 버틸 만했고, 그것도 그 아랫목만 드글드글 끓어 거기는 장판지가 타서 새까맸고, 그런 아랫목에 솜이불 덮어쓰고 누워도, 입에서는 김이 모락모락 났다. 그런 우풍의 침략을 비닐하우스 치고는 남은 비닐들을 온 비름박에다가 붙이고서는 우풍을 차단하고자 참말로 무던히도 힘쓰곤 했다. 

 

 

 

이건 울 동네 대따시 비닐하우스

 

저주받은 한반도는 제때 와줘야 할 비가 오지 않고, 내리지 아니해야 할 시절에 비를 쏟아붓곤 했으니, 그에 더불어 기온조차 영 맞지 아니해서, 제때 모종을 해야 제때 수확을 하지만, 그런 제때는 좀처럼 없었다. 

 

농사는 때가 있다. 모내기도 철이 있어 그 철이 지나면 벼가 여물지 아니해서 쭉정이만 양산한다. 

 

나 역시 그렇지만, 벼는 희한해서 푹푹 쪄야, 그런 날씨가 장기지속해야 제대로 익는다. 그렇게 익으면 뭐하는가? 태풍이 들이닥치면 또 말짱 도루묵이라, 뭐 하나 제대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내가 보질 못했다.

 

그렇게 해서 풍년이 들면? 이건 또 다른 고통이다. 풍년은 물가폭락을 의미한다. 그 폭락은 농민들한테는 비극이다. 다나네기 농사가 잘 되면 온 들판이 썩어가는 다나메기 냄새도 진동을 한다. 팔리지 않기 때문이다. 팔려도 이문이 남지 않기 때문이다. 

 

 

 

엄마 호메인지 아닌지는 확인 안했음

 

 

한데 비닐하우스 도입은 그런 농업의 불규칙을 일거에 타진해 버렸다. 

 

물론 그것이 만능은 아니었으되, 

 

또 그것이 천수답의 숙명을 해결하지는 못했으되

 

그런 대로 시간과 규칙을 갖추게 했으니, 

 

비닐하우스 도입이야말로 경운기의 그것과 더불어 농업에는 혁명이었다. 

 

물론 그 광범위한 도입은 온 국토를 비닐 공해단지로 만들어버렸지만, 그런 건 거둬서 태우는 수밖에 더 있겠는가?

 

***

 

비닐하우스는 제때를 선사한 농업혁명이었다. 
한국농업은 비닐하우스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물론 이 제때는 엄밀히는 속성을 의미하는 비극을 잉태했다. 
그런 점에서 비닐하수는 제때이기도 했으면 속도위반이기도 했으니
제철음식이라는 말을 무색하게 한 폭군이었다. 

 

폭군으로서의 비닐은 추후 다른 기회를 엿보고자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