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성리학은 어떻게 천주학으로 진화하는가

by 신동훈 識 2025. 5. 12.
반응형

대개 성리학은 천주교와는 상극으로 

교회사가들은 천주교는 성리학을 극복하면서 한국에서 성립되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적어도 초기 교회-. 

한국에서 선교없이 성립되었다는 초기 교회-. 

이승훈에 의해 주도된 "사도전승없는 자생적 교회" 혹은 "가교회"는 

성리학이 진화하여 성립된 것이다. 

성리학이 극복되면서 성립한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성리학과 천주학이 날카롭게 대립하면서 분열과정을 거치게 된 것은 

이 시기보다 이후의 일이다. 

사상사적 측면에서 볼 때
성리학자는 천주학자로 발전할 가능성과 씨앗을 

그 사상적 체계 속에 포함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성리학을 비판하면서 천주학을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성리학적 사고 기반 위에서 천주학의 구조물이 지어졌다는 말이다. 

따라서 이승훈의 "초기 가짜교회"는 
성리학적 세계관, 성리철학적 사유의 산물이다. 

이렇게 성리학에서 진화하여 성립한 한국의 기독교가

어떻게 하여 "진짜" 기독교가 주입되면서 

갈등과 분열, 또 다른 단계로의 변화를 수반하는지

그것 또한 앞으로 규명해야 할 부분이라 하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