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수나라 군은 왜 무너졌는가

by 초야잠필 2023. 5. 5.
반응형

아래 김단장께서 쓰신 글을 보고 생각나는 바 있어 글을 더한다. 

고구려, 신라군이 삼국전쟁기에도 1-3만 정도 동원하는것이 대부분이었을 것이며 이것이 최대치였다는 이야기-. 

이 부분에 대해 조금 써 보고자 한다. 

수나라군이 고구려를 쳐들어갔을 때 호왈 113만인가를 이야기 했다는데-. 

개인적으로는 이 당시 수나라 군이 패망한 것은 100만 대군이 아닐지라도 저 군대 규모 때문에 패망했을 것이라는 심증이 있다. 

 

수 왕조 우홍虞弘 墓 석관. 태원



예를 들자면 이렇다. 

군대가 움직이면 그 군대 하나 보내고 끝이 아니다. 먹여야 할 것 아닌가? 그런데 먹이기 위해 움직이는 군대는 그 자체 또 그냥 먹지도 않고 움직이는 로봇이 아니다. 

식량을 수송하는 군대 자체도 또 먹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전통시대의 국가-사회수준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최적의 숫자는 정해지는 것이나 다름없다. 

아마 수학적으로 계산해 보면, 어느 시대에는 가장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군대의 규모가 몇 만으로 그 이상이 되면 군대는 강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약해지는 계산이 가능할 것 같다. 

고구려 신라 시대에는 1만-3만이 최적의 동원 숫자인 것이다. 그 이상이 되면 그 군대 자체의 무게 때문에 주저앉을 수 밖에 없겠다. 

필자는 수나라가 당시 몇 만이나 동원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움직일수 있는 최적의 군대 수 이상을 움직인 것은 확실하며 바로 이 때문에 수나라는 싸우기도 전에 이미 무너졌을 것이라 본다. 

 

비수지전과 전후 상황



수나라의 고구려 침공 못지 않게 많은 군대를 동원한 것이 바로 전진 부견의 남정인데, 

이 군대로 호왈 백만이었는데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무너졌다. 

군대가 많으면 먹이기도 힘들고 교신도 힘들어지는 것이다. 수나라는 출발하는 데만 한 달인가 걸렸다던데 그렇게 길게 늘어진 군대가 교신은 제대로 했겠는가? 

싸우기도 전에 무너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군대 자체의 무게를 이겨내고 최고의 성능으로 상대를 떄리는 데는 적절한 수의 군대의 유지가 필수적이었을 것이다. 

그 숫자가 한반도에서는 1만-3만이었을까? 아마 그럴 수도 있을 것이다. 

비수대전. 산수계산이 안 되면 어떻게 되는가를 보여준 전쟁이다. 이 전쟁에 동원된 병력도 사서에 의하면 백만명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