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근 덕수궁미술관과 예술의전당에서 모두 한국 근현대 서예를 조망하는 전시를 했었다.
적어도 이 두 전시에 작품이 나온 이들은 한국 근현대 서예의 거목으로 인정받았다고 하겠다(물론 이에 동의하지 않는 분도 있겠으나).
그 중 평보 서희환(1934-1995)이라는 분이 계신다. 34년생이니 지금 살아있어도 여든여덟이다.
그러나 당당히 그 스승뻘인 이들과 함께 회고의 대상이 되어 두 전시에 모두 나왔다.
2. 서희환은 소전 손재형(1903-1981)에게 배웠다. 국전에 네 번 연속 특선으로 뽑히고 1968년에는 <애국시>로 대통령상을 받기까지 한다.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그에겐 독이었다. 스승의 글씨체를 본뜨다시피 한 <애국시>를 두고 국전 심사의 공정성 문제, 소전의 국전 심사 독주에 대한 비판이 대두했던 것이다.
이 사건 이후 서희환은 자기 글씨를 쓰기 위해 고뇌하고, 몸부림쳤다.
3. 그는 호남 백성들이 일상에서 주고받았던 간찰 글씨를 자기화해냈다. 그 안에서 글씨의 힘과 생명력을 발견하고, 스승 손재형의 글씨를 뛰어넘는 평보 특유의 체를 만들어냈다.
그의 만년 글씨, 특히 흘림글씨를 보면 마구 쓴 듯이 보이지만 힘의 강약을 조절하며 글자의 리듬을 살렸다. 그러면서도 무리했다는 느낌이 별로 들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그는 판본체 같은 한글의 각체를 활용해 다양한 조형실험을 펼쳤다.
4. 예술의전당에서는 그를 은둔하며 자기 체를 만든 것처럼 설명을 붙였는데, 여기에는 찬성할 수 없다.
국전에 여러 번 특선한 것은 둘째치고, 그는 70년대 정부가 필요로 하는 기념비문을 여럿 썼고 수도여사대(세종대)에서 오랫동안 교편을 잡았다.
또 그의 글씨를 "회장님 글씨"라 할 정도로 기업인들이 좋아해 집무실에 많이들 걸었다고 한다.
'探古의 일필휘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리건판을 보다가, 경성 오다 쇼고[小田省吾]의 집 (0) | 2021.08.23 |
---|---|
나도 이렇게 다니던 시절이 있었지, 이규보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의 경우 (1) | 2021.08.22 |
연산이시여, 애는 썼습니다만 (0) | 2021.08.15 |
꽃 꽂은 노인 강감찬 (0) | 2021.08.07 |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 vs.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 (0) | 2021.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