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체로 세형동검 분포지가
쌀농사 북방한계선이며
진흥왕대 신라의 북진선이며 
통일신라시대 북쪽 국경과 대체로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고 본다. 
왜 세형동검과 진흥왕 북진선과 통일신라 북쪽 국경이 거의 비슷한 선에서 멈추는가? 
쌀농사 때문이다. 
*** Editor's Note ***

세형동검 분포지가 쌀농사 북방한계선 안에 대체로 위치한다는 점이 늘 필자가 지적하듯이 예사롭지 않다.  
이는 어디에서 풀어야 할까?  
세형동검 기능에 답이 있지 않을까?  
하지만 한국고고학은 기능에는 관심 제로다.  
이것이 비극 아니겠는가? 
#세형동검 #세형동검분포지 #세형동검_벼농사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사에서의 잡곡농경 (0) | 2023.12.05 | 
|---|---|
| 평양의 지리적 의미 (0) | 2023.12.05 | 
| 절판된 헌책을 기린다 (0) | 2023.12.04 | 
| 한국과 일본의 격차가 가장 심하게 벌어진 시기 (0) | 2023.12.04 | 
| 소위 역사의 발전단계에 대하여 (0) | 2023.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