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한국사에서의 잡곡농경

by 초야잠필 2023. 12. 5.
반응형

한국사에서는 농경의 획기를 도작농경의 시작으로 잡는 것 같다. 

도작 농경 이전에도 잡곡농경이 있었다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다. 

다만 그 잡곡농경은 고도의 농경이 아니고

수렵채집등 부수적인 생산기법이 있어야 유지되는 초보적 수준의 농경으로 보는 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생각해 본다. 

중국의 경우 이른바 진령-회하선을 경계로 그 이북의 잡곡농경권과 이남의 도작농경권이 

오랫동안 병립하면서 존재한 것으로 본다. 

황하유역은 잘 아는 것처럼 도작농경문화가 아니다. 

그럼에도 찬란한 중국문명의 맏형 노릇을 했다. 

우리는 부여와 고구려가 한국사의 한 축을 담당한 문명이라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잡곡농경 그 자체에 대해서는 아직 이해의 정도가 깊지 않은 것 같다. 

부여와 고구려 시대의 잡곡농경과 

신석기 시대의 잡곡농경은 어떻게 달랐다는 것일까? 

적어도 작물의 종류를 보면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신석기시대에는 낮았던 잡곡생산성이

부여 고구려시대에는 어떻게 향상되었다는 것일까? 

여기서 한 가지 생각해 보면, 

일본의 경우에는 농경을 도작 농경 하나만으로 이해해도 될 것 같다. 

야요이 시대에 한반도에서 도작이 전해진 이래 일본열도 전체는 도작 문화권 하나로만 정리해도 큰 문제 없어 보인다는 말이다.

한반도도 동일하게 볼 수 있을까? 

한반도의 농경도 도작의 전래 하나로만 획기해도 되는 것일까? 

그렇다면 우리는 부여와 고구려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한국의 농경은 일본과 달리 

잡곡농경과 도작농경 둘로 나누어 이해햐고 서술해야 하는 것 아닐까? 

중국처럼 한국판 진령-회하선이 한반도 허리 어딘가에 존재하여 
그 북쪽은 잡곡농경, 이남은 도작농경이 번성하였고

전자에서는 고구려, 부여, 

후자로부터는 삼한이 성장하였으며 

그 전이지대에 대동강유역-고구려와 낙랑이 존재했다고 설명해야 하는 것 아닐까? 

한국의 농경은 중국식의 설명이 오히려 유효한 것 아닌가 하는데, 

도작에만 올인하는 일본식 농경사의 설명으로 한국사를 보고 있다는 생각이다. 

발해만 주변과 남만주 일대의 잡곡농경 유적 (붉은 점)을 주목해 보자. 한국사에 부여, 고구려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말은 잡곡농경에 대한 이해 없이는 한국사 전체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말과 같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