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서는 농경의 획기를 도작농경의 시작으로 잡는 것 같다.
도작 농경 이전에도 잡곡농경이 있었다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다.
다만 그 잡곡농경은 고도의 농경이 아니고
수렵채집등 부수적인 생산기법이 있어야 유지되는 초보적 수준의 농경으로 보는 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생각해 본다.
중국의 경우 이른바 진령-회하선을 경계로 그 이북의 잡곡농경권과 이남의 도작농경권이
오랫동안 병립하면서 존재한 것으로 본다.
황하유역은 잘 아는 것처럼 도작농경문화가 아니다.
그럼에도 찬란한 중국문명의 맏형 노릇을 했다.
우리는 부여와 고구려가 한국사의 한 축을 담당한 문명이라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잡곡농경 그 자체에 대해서는 아직 이해의 정도가 깊지 않은 것 같다.
부여와 고구려 시대의 잡곡농경과
신석기 시대의 잡곡농경은 어떻게 달랐다는 것일까?
적어도 작물의 종류를 보면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신석기시대에는 낮았던 잡곡생산성이
부여 고구려시대에는 어떻게 향상되었다는 것일까?
여기서 한 가지 생각해 보면,
일본의 경우에는 농경을 도작 농경 하나만으로 이해해도 될 것 같다.
야요이 시대에 한반도에서 도작이 전해진 이래 일본열도 전체는 도작 문화권 하나로만 정리해도 큰 문제 없어 보인다는 말이다.
한반도도 동일하게 볼 수 있을까?
한반도의 농경도 도작의 전래 하나로만 획기해도 되는 것일까?
그렇다면 우리는 부여와 고구려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한국의 농경은 일본과 달리
잡곡농경과 도작농경 둘로 나누어 이해햐고 서술해야 하는 것 아닐까?
중국처럼 한국판 진령-회하선이 한반도 허리 어딘가에 존재하여
그 북쪽은 잡곡농경, 이남은 도작농경이 번성하였고
전자에서는 고구려, 부여,
후자로부터는 삼한이 성장하였으며
그 전이지대에 대동강유역-고구려와 낙랑이 존재했다고 설명해야 하는 것 아닐까?
한국의 농경은 중국식의 설명이 오히려 유효한 것 아닌가 하는데,
도작에만 올인하는 일본식 농경사의 설명으로 한국사를 보고 있다는 생각이다.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에서 농경을 어떻게 볼 것인가 (0) | 2023.12.06 |
---|---|
부여와 고구려를 한국사에 포함하려 한다면 (0) | 2023.12.05 |
평양의 지리적 의미 (0) | 2023.12.05 |
쌀농사 따라 분포한 세형동검 (0) | 2023.12.04 |
에조-아이누계 지명이 즐비한 일본 동북 (0) | 2023.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