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선후기 감로도를 보면 무진장 많은 불기와 의식구가 보인다.
문제는 제 불기들이 매일 사용되지 않는다는 사실.
떡이나 밥을 담은 불기는 별도의 지정된 창고에 보관하기도 하는데 그림에서처럼 대바라, 금강저 등등은 어디다 보관할까.
절집에 사는 사람들은 잘 안다. 바로 불단 밑이다. 요즘은 플라스틱 상자에 넣어 보관하는 예가 많지만 과거에는 사과박스같은데 담아 불단 밑에 두었다.
고려 때는 어찌했는지 모르지만 이번처럼 다량의 불구류가 발견되는 사례는 분명 십중팔구는 큰 불사가 없을 때 일상적으로 보관했던 거라 보는게 정확할 거다.
따라서 전쟁이니 뭐니 하면서 큰 의미 부여를 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향후에라도 이런 사례가 더 나온다면 물론 앞선 사례도 충분히 검토해 봐야겠지만그저 일상적인 보관상태였다가 이렇게 발견된 거라고 보는게 타당할 듯 싶다.
이상은 송광사성보박물관 김태형 선생 글이다.
*** related articles ***
절집에서 보는 절집, 소위 퇴장유물에 대하여 by 김태형
왜 공양구를 한꺼번에 묻었을까? by 김태형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사학은 근대에 접근한 과학인가? by 허홍범 (1) | 2023.07.10 |
---|---|
말각 방형 抹角方形, 개 똥폼 고고학(1) (0) | 2023.07.07 |
절집에서 보는 절집, 소위 퇴장유물에 대하여 by 김태형 (0) | 2023.07.07 |
왜 공양구를 한꺼번에 묻었을까? by 김태형 (0) | 2023.07.06 |
비단벌레, 날아다니는 금은보화 (0) | 2023.07.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