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조사 지역  | 
조사 구분  | 
조사기간 | 면적 (㎡)  | 
시대 | 유구 | 유물 | 조사기관 | 
| 예산 가야 사지 중심 사역 추정 지역  | 
시굴 조사 | 2012. 4. 9. ~ 2012. 5. 25.  | 
4,231 | - | (추정)불전지 건물지 및 기단석축  | 
금동불두편, 소조나발편 등  | 
충청남도 역사문화 연구원  | 
| 1차 발굴 | 2012. 10. 22.~ 2012. 12. 18.  | 
2,000 | 통일 신라 ~ 조선  | 
건물지 5동 (불전지, 답도, 배수로, 부석시설 등)  | 
석조불상 8구, 금동불두, “加良岬”名文塼, “加良岬(寺)”名文瓦 등  | 
충청남도 역사문화 연구원  | 
|
| 2차 발굴 | 2013. 6. 20. ~ 2013. 9. 11.  | 
1,600 | 고려 ~ 조선  | 
건물지 3동 (답도시설, 연화대좌 등)  | 
“四月三日之加良岬寺”銘 명문기와, 석조불상 3구  | 
충청남도 역사문화 연구원  | 
|
| 3차 발굴 | 2014. 6. 26. ~ 2014. 11. 14.  | 
1,080 | 고려 ~ 조선  | 
1건물지, 4건물지, 석축유구, 제각(남연군묘) 바-9TR. 9건물지  | 
“四月三日之加○○○”銘 명문기와, 청자, 백자, 암키와, 수키와, 암막새, 수막새, 치미편, 청동접시, 토기편 등  | 
충청남도 역사문화 연구원  | 
|
| 4차 발굴 | 2015. 6. 17. ~ 2015. 8. 24.  | 
650 | |||||
| 5차 발굴 | 2016. 12. 1. ~ 2016.12.21.  | 
600 | 고려 | 건물지, 배수로, 기단석렬, 온돌시설  | 
청자, 토기, 기와편 등 | 금강 문화유산 연구원  | 
|
| 6차 발굴 | 2018. 8. 27. ~ 2020.11.6.  | 
2,300 | 고려 이전 ~ 조선  | 
건물지, 축대, 담장지, 석렬유구  | 
“加良岬(寺)”名文瓦, 청자, 백자, 막새, 망와, 용두 등  | 
동방 문화재 연구원  | 
|
| 7차 발굴 | 2020. 10. 21. ~ 조사 진행중  | 
2,347 | 건물지, 담장지 | “加良岬(寺)”名文瓦, 청자, 백자, 막새 등  | 
누리 고고학 연구소  | 
||
| 예산 가야 사지 중심 사역 주변 지역  | 
등산로확장 시굴조사  | 
2004. 11. 11.~ 2004. 11. 30.  | 
6,181 | 고려 ~ 조선  | 
석렬, 기단석, 암거 등  | 
․ | 충청남도 역사문화 연구원  | 
| 예산 상가리 유적  | 
2011. 8. 31. ~ 2011. 10. 14.  | 
1,800 | 고려 ~ 조선  | 
고려시대 추정 건물지 ․ 축대 ․ 석렬, 고려~조선시대 추정 3단 축대  | 
청자, 백자, 기와 | 한얼 문화유산 연구원  | 
|
| 도립공원 정비사업 시굴조사  | 
2012. 5. 29. ~ 2012. 6. 7.  | 
94 | ․ | ․ | ․ | 충청남도 역사문화 연구원  | 
반응형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文化財庁、デジタル文化遺産データ100万件構築·開放 (0) | 2021.12.13 | 
|---|---|
| 파고 보니 우람한 예산 가야사지, 문제는 사후처리! (0) | 2021.12.10 | 
| Buddhist Paintings and Sculptures of Joseon Perio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0) | 2021.12.08 | 
| 名品仏像·仏画を残して忘れ去られた朝鮮の僧侶匠人の再発見 (0) | 2021.12.07 | 
| 百済「扶余羅城」湿地区間の築城技法を確認 (0) | 2021.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