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라 이야기: 신동훈 & 김태식/1-외치 이야기

[외치이야기-33] 모계유전이란?

by 초야잠필 2025. 2. 1.
반응형

사실 이그림은 부계쪽이 제대로 표시된 것이 아니다.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 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도 밑의 Brother처럼 반쪽으로 표시되어야 하고 이들의 X염색체 (빨간색)은 각각 서로 달라야 한다. 편의상 그 점은 무시하고 봐야한다.


자 이제 이 그림을 보자. 

여기서 아랫쪽에 빨간색과 파란색이 반반 들어 있는 것. 

그리고 빨간색만 있는 것 이렇게 두 개가 보일 것이다. 

여기서 여러분이 만약 남자라면 반씩 들어 있는 "Brother"

여자라면 빨간색의 "Sister"다. 

여기서 파란색이 바로 Y 염색체다. 

빨간색은 X 염색체다. 

Brother가 반반 색이 있는 이유는 성염색체가 XY이기 떄문이다. 

여기서 Y는 아버지한테서 오지만 X는 어머니한테서 온 것이다. 

반대로 Sister는 빨간색만 있는데 성염색체가 XX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X하나는 아버지한테서 온 것이고 다른 X는 어머니한테서 온 것이다. 

여기서 Y만 따라 올라가면 (왼쪽으로 파란색을 따라 올라가면) 그것이 부계유전이다.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 이런식으로 따라 올라간다. 

무슨 뜻인고 하면, 

여러분에게 부계유전자를 물려준 분은 아무리 여러분들의 남자조상이 많아도 

딱 한 분이다. 

반대로 나에게는 성염색체의 또 다른 부분 

X염색체가 있을 것이다. 

이 어머니에서 온 X 염색체야말로 반대로 어머니의 어머니의 어머니의 어머니.. 

이런식으로 따라 올라간다.

이것이 모계유전이다. 

이것 역시 수많은 여러분들의 여자조상이 있어도 

여러분에게 모계유전자를 물려준 분은 딱 한 분이다. 

모계유전을 역사적으로 예를 들자면?

화랑세기 필사본에 대원신통이나 진골정통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것이다. 

그림으로 표시하면 이렇다. 


진골정통이나 대원신통은 
어머니의 어머니의 어머니의 어머니..

이런식으로 따라 올라간다. 

전형적인 모계유전을 따르며


이러한 모계유전은 법의학에서는 대개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하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revious article *** 

 

[외치이야기-32] 부계유전의 역사적 의미

 

[외치이야기-32] 부계유전의 역사적 의미

이 이야기가 무슨 뜻인가 하면, 다음을 보자. 조선왕실 계보다. 조선왕실 계보에서 조선의 왕은 오직 부계 아버지에서 아들로만 왕위가 전달된다. 그렇다면 이 모든 왕들은 부계 유전자 분석을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