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

우물안 개구리가 논하는 천하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1. 3. 5.
반응형

어떤 책에 이렇게 쓰였으니, 훌륭한 분이 말한 바이니 믿고 따르는 이를 많이 본다. 이런 이를 가리켜 눈 뜬 장님이라고 한다.

책을 읽을 땐 반드시 쓴 목적이 무엇인지 살피지 않으면 그 저자가 판 함정에 빠진다. 더 가관은 그 함정에 빠진 개구리가 하늘을 논한다는 것이다.

성호 이익의 <독사료성패(讀史料成敗)>는 사료를 읽는 전근대인의 자세를 옅볼 수 있다. 그러나 사료를 보는 자세로는 불완전하다.

 

댓잎에 앉은 청개구리. 천하를 논하겠는가? 




천하의 일이 대개 10분의 8~9쯤은 천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사서(史書)에 나타난 바로 보면 고금을 막론하고 성패(成敗)와 이둔(利鈍)이 그 시기의 우연에 따라 많이 나타나게 되고, 심지어 선악과 현불초의 구별까지도 그 실상을 꼭 터득할 수 없다.

옛날 사서를 편력하여 상고하고 모든 서적을 방증(旁證)하여 이리저리 참작하고 비교해 보니, 오로지 한 서적만 믿고서 단정할 수 없겠다. 옛날 정자(程子 정이)는 사서를 읽다가 한 반쯤 이르러서 문득 책을 덮고 한참동안 생각하여 그 성패에 대한 실상을 짐작한 후에야 다시 읽었고, 또 사실이 잘 맞지 않는 곳이 있으면 다시 정신을 가다듬고 깊이 생각해 보았다고 한다.

그 중간에 씌어진 사실이 다행히 이루어지기도 하고 불행히 실패된 것도 있으니, 대개 그 사실이 맞지 않는 곳이 많을 뿐더러 맞는 곳도 역시 준신할 수 없다. 그러니 이 사서란 것은 모두 성패가 이미 결정된 후에 지은 까닭에 그 성패에 따라 곱게 꾸미기도 하고 아주 더럽게도 만들어서 그것이 당연한 것처럼 여겼다.

 

두꺼비가 천하를 알겠는가? 



또 선(善)에 대해서는 허물을 숨긴 것이 많고, 악(惡)에 대해서는 장점을 꼭 없애버리는 까닭에, 어리석고 슬기로움에 대한 구별과 선과 악에 대한 보복도 상고할 점이 있을 듯하다. 그 당시에 있어서는 묘책도 끝내 이루어지지 않고 졸렬한 계획도 우연히 들어맞게 되었으며, 선한 중에 악도 있었고 악한 중에 선도 있었다는 것을 도대체 알 길이 없다. 천재(千載)나 멀어진 후에 어느 것을 좇아 그 참으로 옳고 그름을 알겠는가?

그러므로 사서에 따라 그 성패를 짐작하면 사실과 이치가 그대로 맞는 곳이 많고, 오늘날 목격한 것을 따라 생각하면 10분의 8~9쯤은 모두 이치에 맞지 않는다. 이것은 다만 나의 지혜가 밝지 못해서 그렇게 될 뿐 아니라 바로 천행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이용한 것이 많기 때문이며, 또 오늘날에는 일이 이치에 어긋남이 많을 뿐만 아니라, 옛날 사서도 역시 참[眞]이 어려웠던 때문이다.

나는 이 때문에 천하의 일은 시대를 잘 만나는 것이 최상이고, 행ㆍ불행(幸不幸)은 다음이며, 시비(是非)는 최하로 여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