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inous Stele with Korean Insctiptions for Yi Yuntak
李允濯韩文灵碑 / 李允濯ハングル靈碑
지정번호 : 보물 제1524호 / 시대 : 1536년(조선 중종 31)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통 12번지
이 비는 1536년(중종 31l)에 이윤탁(李允濯:1462~1501)과 그의 부인 고령신씨를 합장한 묘 앞에 세운 것이다. 이윤탁 묘역은 원래 지금의 태릉 자리에 있었는데, 문정왕후 윤씨의 묘자리에 만들면서, 이곳에 있는 부인 고령신씨 묘로 이장하게 되었다. 이 비는 그의 아들 이문건(李文楗)이 새롭게 조성된 묘역이 훼손되지 않도록 경계하기 위해 세운 것으로, 비의 양 측면에 한글과 한문으로 경계문을 새겼다. 비의 왼쪽에는 "영비(靈碑)"라는 제목 아래 비석의 손상을 염려하는 30자로 된 한글 비문이 새겨져 있다. 이것을 현대어로 번역하면 "신령한 비다. 쓰러뜨리는 사람은 화를 입을 것이다. 이를 한문을 모르는 사람에게 알리노라."이다. 이 비는 한글로 쓰인 현존 최고(最古)의 비라는 점에서 국어사 한글서예사적으로 가치가 높다.
이 비는 1998년 도로 확장 때문에 원래 자리에서 15m 뒤로 옮겨졌고, 원래 자리에는 돌을 묻어 표시했다. 비의 비신은 상부의 양쪽 모서리에 각을 주어 깎은 모양이고, 받침대는 네모 모양인 규수방부(圭首方趺)의 형식이다. 이는 조선시대 초기에 유행하였던 양식이다.
이윤탁 영비靈碑 전면.
Designation : Treasure No. 1524 / Period : 1536 (31st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Location : 12, Hagye-dong. Nowon-gu, Seoul
This stele was set up in front of the tomb of Yi Yuntak and his wife in 1536. Yi's tomb was originally located in present-day Taereung However when the tomb of Queen Munjeong was planned to be built there, his tomb was moved to where his wife was buried.
This stele was erected by his son Yi Mungeon to make precautions so the newly provided graveyard would not be damaged. He inscribed the statement of warning in Korean and Chinese on each side of the stele. On the left side of the stele is an inscription with 30 Korean characters with the title, "Numinous Stele." The statement can be translated as follows, "This is the Numinous Stele. Anyone who brings it down will be ill-fated. I notify of this to those who do not understand Chinese."
This is the oldest stele inscription in Korean remaining to date, and it holds a great sl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nd calligraphy. This stele was moved 15 meters from its original site due to the widening of the road in 1998. A stone monument was buried in the original spot to mark it. The top corners of the stele were cut out, and the base is in a rectangular shape. This was the style most popular from the early Joseon period.
이윤탁 영비 좌측면. 불인갈不忍碣이라는 제목 아래 경고문을 붙였다. 안내판에서 이를 우측면이라 하는데 반대다. 비석을 전면에서 바라보는 사람 기준으로 방향을 따졌지만, 비석 중심으로 생각해야 한다.
이윤탁 부부 합장분은 그의 아들이자 《묵재일기(默齋日記)》 작가로 저명한 이문건(李文楗, 1494∼1567)이 조성했다. 그의 일기에는 이 비석을 세운 내력이 아주 상세하게 정리됐거니와, 문화재청에서는 그 측면에 새긴 한글 경고문을 중시해 보물로 지정했지만, 그보다는 이 비석 글자를 모두 상주인 이문건이 매일 하루 2~3글자씩 직접 쪼아 새겼다는 점에서 찾아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