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일본서기에 비친 가야

by 신동훈 識 2025. 4. 5.
반응형

옆나라 사서의 예를 들어 미안하지만 우리 기록이 소략하니 어쩔 수가 없다. 

일본서기에는 가야 관련 기사가 많다. 

이 기사들을 보면 느끼는 것은, 

가야 제국들이 과연 신라나 백제 같은 시스템을 원하고 있었는가 하는 생각이 많이 든다. 

우리는 그리스의 경우에는 왜 폴리스들이 망할 때까지 마케도니아 같은 대왕국을 만들지 않고, 

아테네가 전성기였던 그 순간까지도 동맹체제에 기반한 "아테네제국"을 꾸려갔는가에 대한 해답이 있는가. 

이는 주변에 이미 강력한 전제국가가 존재하여 벤치마킹을 하려면 얼마든지 할 수 있었음에도 
그리스 폴리스들은 그 길을 택하지 않은 것 아니겠는가. 

그렇다면, 

가야 소국들은 신라 백제 같은 시스템을 

그리로 가고자 했는데 못간 것인가

아니면, 

그리로 갈 생각이 애초에 없었던 것인가. 

일본서기의 가야 기록을 보면 

이들은 신라나 백제 같은 시스템은 애초부터 관심이 없던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는 바다. 

페르시아 전쟁 후 아테네가 중심이 되어 구성한 델리안 동맹-. 300개 정도 폴리스가 가입해 있었다고 한다. 아테네는 국력이 최정상에 이르렀을 때도 소국 중심 연맹체에 의한 지배를 바꾸지 않았다. 도대체 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