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일본 근대적 교육기관의 기원

by 초야잠필 2023. 8. 11.
반응형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일본의 메이지 이전 교육기관의 상당수는 근대적 교육기관으로 넘어왔는데 

이는 일본전통의 보호 같은 한가한 이유 때문이 아니라는 점을 밝혔다. 

일본은 한국과 같은 "학교" 전통이 약하다. 

에도시대 이전 제대로 된 "학교"가 없었다.

헤이안시대에 우리의 국학에 해당하는 것이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고대의 학문전통은 중세시기에 사찰의 승려와 귀족들을 통해 전수되었다. 

이러한 상황이 바뀐 것은 에도시대부터였다. 

막부는 막부학문소 (지금의 유가와세이토: 탕도성당), 

각 번은 번교를 만들고 

그 아래에는 데라코야가 있어 한국의 성균관-서원(향교)-서당과 유사한 형태의 전근대적 교육제도가 완성되었다. 

이 때문에 일본의 경우 "교육의 기원"은 막부학문소, 혹은 번교로 보는 시각이 매우 강하다. 

한국은 이보다 훨씬 찬란한 교육제도의 전통이 있는 나라인데 

근대화의 와중에 그 많은 수의 학교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 

조선 근대화의 실패와 식민지시대를 규명함에 꼭 필요한 부분의 하나가 

바로 이러한 전근대 교육기관의 실패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고 이 역시 반드시 규명되어야 하는 부분의 하나이다. 

일본의 번교는 많은 수가 소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로 이어졌다. 그도 그럴것이 메이지 시대, 근대적 교육제도 비슷하게라도 만들려면 뭐라도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학교 부지가 있고 선생이 있고 학생이 이미 있었던 막부학문소와 번교는 그래서 근대적 교육제도를 만드는데 있어서 좋은 재료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