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일본의 메이지 이전 교육기관의 상당수는 근대적 교육기관으로 넘어왔는데 
이는 일본전통의 보호 같은 한가한 이유 때문이 아니라는 점을 밝혔다. 
일본은 한국과 같은 "학교" 전통이 약하다. 
에도시대 이전 제대로 된 "학교"가 없었다. 
헤이안시대에 우리의 국학에 해당하는 것이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고 고대의 학문전통은 중세시기에 사찰의 승려와 귀족들을 통해 전수되었다. 
이러한 상황이 바뀐 것은 에도시대부터였다. 
막부는 막부학문소 (지금의 유가와세이토: 탕도성당), 
각 번은 번교를 만들고 
그 아래에는 데라코야가 있어 한국의 성균관-서원(향교)-서당과 유사한 형태의 전근대적 교육제도가 완성되었다. 
이 때문에 일본의 경우 "교육의 기원"은 막부학문소, 혹은 번교로 보는 시각이 매우 강하다. 
한국은 이보다 훨씬 찬란한 교육제도의 전통이 있는 나라인데 
근대화의 와중에 그 많은 수의 학교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 
조선 근대화의 실패와 식민지시대를 규명함에 꼭 필요한 부분의 하나가 
바로 이러한 전근대 교육기관의 실패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고 이 역시 반드시 규명되어야 하는 부분의 하나이다.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아이지현愛知県 제4중학이 된 번교藩校 시습관時習館 (0) | 2023.08.11 | 
|---|---|
| 번교의 근대교육기관으로 전환의 사례: 요네자와번 흥양관 (0) | 2023.08.11 | 
| 서원철폐는 혹시 경복궁 중건 때문이 아닌가? (0) | 2023.08.11 | 
| 당파 없앤다고 학교를 다 때려 부순 흥선대원군 이하응 (0) | 2023.08.11 | 
| 서원철폐 : 1864년 (0) | 2023.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