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일제시대 경성제대와 대학령

by 초야잠필 2023. 3. 27.
반응형

일제시대에 민립대학과 경성제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을 것이다. 

쉽게 말해서 3.1 운동 이후, 민립대학 운동이 일어나자 경성제대를 총독부에서 선제적으로 만들고 더 이상의 논의를 잠재웠다.. 라는 것인데. 

이 부분에 대해 사람들이 잘 모르는 부분이 있다. 

원래 메이지유신 이래, 일본에는 제국대학만 대학이었다. 

제국대학은 경성제대가 생길 때까지만 해도 총 5개가 있었다. 

그런데 1919년에 일본에는 "대학령"이라는 것이 생겼다. 

이전에는 제국대학만 가능했던 "대학"을 사립대학과 다른 관립대학까지 대폭 늘려 증가시킬 수 있게 만든 것이다. 

그 결과 일본에는 제국 대학 이외의 대학이 많이 생겨났다. 

당시 조선땅에서 "민립대학"을 만들자고 한 것은 아마 이 "대학령"에 따라 사립대학을 만들자는 의미였을 것이다. 

1919년 당시 이미 조선에는 "전문학교"가 있었기 때문에 이때 "민립대학"을 만들자면 그것은 "대학령"에 따른 민립대학을 의미한다. 

사실 대학령에 따른 "민립대학"과 "제국대학"은 둘 중 하나만 만들수 있는, 그런 것은 아니었다. 

대학령에 따른 대학은 어차피 제국대학 이외의 사립-관립대학 설치를 규정한 것이므로 제국대학과 민립대학 둘 다 인가를 내도 되는 상황이었다는 말이다. 

경성제대가 인가를 받아 정식 출범한 1924년까지 "대학령"에 따라 일본 본토에 새로 인가가 난 "구제 대학"은 다음과 같다. 

1919年
11月22日[6] - 府立大阪医科大学(最初の旧制公立大学、1931年に官立移管し、大阪帝国大学へ昇格)
1920年
2月5日[7]
『官報』(1920年2月6日付)文部省告示第35-36号 
慶應義塾大学
早稲田大学

3月31日[8] - 東京商科大学(1944年東京産業大学に改称、1947年に復称を経て、現・一橋大学)
4月15日[9]

『官報』(1920年4月16日付)文部省告示第265-270号

日本大学
國學院大學

6校の昇格決定を報じる『東京朝日新聞』(1920年4月2日付朝刊3面)。
6月18日[10] - 県立愛知医科大学(1931年に名古屋医科大学として官立移管の後、名古屋帝国大学に昇格)
1921年
10月19日[11]
東京慈恵会医科大学
京都府立医科大学
1922年
3月31日[12]
新潟医科大学* (現・新潟大学)
岡山医科大学* (現・岡山大学)
旅順工科大学(終戦時に廃校)
満洲医科大学(現・中国医科大学)
5月20日[13]
龍谷大学
大谷大学
5月25日[14]
県立熊本医科大学(1929年に官立移管を経て、現・熊本大学)
専修大学
立教大学
6月5日[15]
立命館大学
関西大学
東洋協会大学(現・拓殖大学、戦後の一時期「紅陵大学」に改称)
1923年
3月30日[16]
千葉医科大学* (現・千葉大学)
金沢医科大学* (現・金沢大学)
長崎医科大学* (現・長崎大学)


1924年
5月17日[17] - 立正大学



위에서 보는 것처럼 경성제대가 성립되는 1924년까지 일본본토에는 "대학령"에 의해 사립대-관립대가 무더기로 생기고 있었다. 

그런데 일본은 결국 1924년, 조선에는 경성제대 하나만 대학인가를 내주었고, 

해방될 때까지 단 하나의 대학도 추가로 설치하지 않았다. 

특히 일본에는 많은 수가 설치된 사립대학의 경우, 조선땅에는 단 하나도 없었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일제시대 조선인에 대한 교육정책에는 일본정부의 악의가 상당히 크게 좌우했다고 생각하는데, 

조선땅에 대학, 그것도 사립대학 하나 없이 제국대학 단 하나만을 묶어 두고, 

고등학교 하나 없이 경성제대 예과 하나만 달랑 설치한 것은 대학 졸업생 수의 증가를 막으려는 일본측의 의도가 분명히 있었다고 생각한다. 


와세다대학과 게이오는 1920년 두 대학 모두 대학령에 의해 대학으로 승격했다. 1919년 이후 조선에 유행한 "민립대학 설립운동"은 바로 이 대학령을 의식하고 추진된 것으로 보인다. 총독부는 대학령에 따르면 사립대는 조선에도 설치 가능함에도 해방될 때까지 단 하나의 대학도 추가 설립하지 않았다. 이렇게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된 대학 때문에 1930년대 이후 많은 조선인 학생이 일본으로 건너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