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잃은 것은 글쓰기요 얻은 것은 각주다

by taeshik.kim 2024. 3. 13.
반응형

노산 이은상. 강건체의 대명사다.



내가 요새 틈나는 대로 노산 이은상을 읽는 중이다. 1903년생인가일 것이다.

노산은 직업적 학문종사자와 문필가 중간에 걸치는 사람이다.

이 세대 글쟁이가 거의 그렇다.

양주동이며 리선근이며 하는 인물들이 다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그런 까닭에 논문도 적지 않게 썼다.

한데 이들의 논문은 그 자체가 문학작품이라는 느낌을 다분히 받을 정도로 그 문체가 맛깔나고 유려하다. 혹 강건체 만연체가 많음에도 그 흐름이 방향을 받지 않고 무슨 물결과 바람에 의지에 배를 타는 기분이다.


무애 양주동. 글 참말로 잘 썼다.



이기백은 1924년생으로 안다. 벽사 이우성은 한살 적을 것이요 고병익은 1923년생으로 기억한다.

이들은 직업적 학문 시대를 본격으로 연 사람들이라 소위 잡문도 무슨 딱딱한 논문투를 벗어나지 못해 현미밥을 씹는 기분이다.

독특한 인물이 1922년생 삼불 김원룡이다.

그는 수필가를 자처해 실제 많은 수필을 써서 그 전배들 흉내를 무진 내려했다.

한데 그 문체를 곰곰 뜯어보면 겉보기완 달리 문장 자체가 꺽꺽 하는 소리를 내기는 마찬가지다. 한데도 그의 글이 맛깔나다고 말하는 까닭은 그 세대들에 견주어 상대적으로 낫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의 글은 그 전배들의 그것에 비하면 명함도 못내민다.

나는 이를 글쓰기의 퇴보로 본다.

글을 읽는 재미를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저들 노산 시대 글쓰기를 회복해야 한다고 믿는다.

학문이라는 너울이 착근하면서 이 땅에서 잃은 것은 글쓰기요 얻은 것은 각주다.

각주를 추방해야 하는 이유다. (2016. 3. 9)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