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고려사랑 조선실록이 남긴 鄕土의 흔적들

by taeshik.kim 2024. 3. 12.
반응형

 

향토鄕土라는 말이 일제 잔재이므로, 그것을 지역이라는 말로 교체하라는 문화재청 교시가 오늘 나를 격발케 했거니와, 그것을 부정하는 근거로 나는 이미 전국시대 혹은 늦잡아도 진한시대에는 저 말이 벌써 우리가 생각하는 그 뜻, 곧 말 그대로 고향의 땅, 곧 고향이라는 뜻으로 쓰였다는 증거로써 열자列子를 들이밀었거니와

그것을 확대하여 그래도 못내 미련을 떨치지 못할까 저어하여 이번에는 고려사랑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향토라는 말을 근거로 더욱 보강하고자 한다. 

먼저 고려사에서는 저 말이 두 군데 보이거니와 

세가世家 권 제44 공민왕恭愍王 22년  7월 정몽주가 풍랑으로 잃어버린 공문을 새로 베껴서 가지고 오다 기사에서 이르기를 

고향[鄕土]과 멀리 떨어져 있으니, 부모가 반드시 아들 생각에 잠길 것이고, 아들은 필시 그 부모를 생각할 것이니, 이는 인지상정이다.

隔離鄕土, 爲父母必懷其子, 爲人子必思其親, 此人之常情.

라 했으니 예서도 향토가 고향이라는 뜻으로 쓰였고 열전列傳 권 제24 제신諸臣 경복흥慶復興 열전에 이르기를 

너희들이 향토鄕土를 떠나고 친척을 하직하고 몸과 마음을 괴롭히면서 1,000리里나 먼 곳에서 다른 사람을 따르는 것은 

爾等離鄕土辭親戚, 苦身憔思, 千里而從人者

이라 해서 역시 예서도 향토가 고향이라는 뜻으로 쓰였음을 본다.  

실록으로 넘어가면 이 말이 쏟아진다. 

딱 하나만 든다. 태종 17년 윤 5월 28일자 기사에 

하물며 향토(鄕土)를 떠나 처자(妻子)를 버리고 양식을 싸 가지고 번상(番上)하러 서울에 여우(旅寓)501) 하며 객지에서 역사에 종사함에 겨를이 없는데야 말해 무엇하겠습니까?

況離鄕土、棄妻子, 齎糧番上, 旅寓於京, 而從役不暇哉?

 

뭐가 더 필요한가? 

그래서 저것이 일제 잔재라 해서 지역地域이라는 말로 바꾼다 하는데, 놀랍게도 이 지역이라는 말 자체가 쓰임이 향토 보다 훨씬 적어 원문 기준올 네 군데밖에 검출되지 않는다. 한데 이 지역은 area라 hometown이라는 의미는 없다. 적어도 실록에 몇 차례 쓴 지역은 local 이 아니라 그냥 area다. 

중앙에 대비되어 지역地域이라는 말이 local 혹은 regional라는 뜻으로 전용된 것은 확실히 근대인 듯하다.  

따라서 저 주장과는 달리 지역이라는 말이 외려 근대적이며, 따라서 외려 그렇다면 일제잔재일 수도 있다.

말 자체를 보아도 지역地域은 뜻이 매우 비슷한 地와 域을 합성한 말로써, 그 자체 어디에도 중앙에 견준 local 이라는 의미가 없다. 확실히 지역이라는 말이 lcal로 등장한 것은 근대다.   

요약하면 첫째 향토라는 말이 일제 잔재라는 말이 언어도단이요 둘째 향토유산을 대체하는 지역유산이라는 말 자체도 언어도단임을 엿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