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대전(朱子大全)》 권9에 수록되었는데, 그 제목은 〈순희 갑진년 2월에 정사에서 한가로이 거처하다가 장난삼아 무이도가 10수를 지어 함께 놀러온 동지들에게 주고 한번 웃노라[淳熙甲辰仲春 精舍閒居 戱作武夷櫂歌十首 呈諸同遊相與一笑]〉이다. 〈무이구곡가〉 로 줄여 일컫는다. 무이구곡은 복건성(福建省) 숭안현(崇安縣) 무이산(武夷山)에 일대인데, 주희는 1183년 무이구곡의 제5곡에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짓고 〈무이정사잡영(武夷精舍雜詠)〉을 지었고, 이듬해 이 〈무이구곡가〉를 지었다.
〈무이구곡가〉는 서(序) 1수와 1곡부터 9곡까지 각각 1수씩 열 수로 되어 있다.
[1]
무이산 산속에 신선이 살고 있고 武夷山上有仙靈
산 아래 찬 냇물 굽이굽이 맑아라 山下寒流曲曲淸
그 속의 멋진 경치 아시고 싶거들랑 欲識箇中奇絶處
뱃노래 두어 가락 조용히 들어 보소 棹歌閑聽兩三聲
[2]
첫째 구비 냇가에서 낚싯배에 올라타니 一曲溪邊上釣船
만정봉 그림자가 맑은 시내에 잠겼어라 幔亭峰影蘸晴川
홍교가 한번 끊어진 뒤로 소식이 없더니 虹橋一斷無消息
만학천봉을 푸른 안개가 잡아 가두었네 萬壑千巖鎖翠烟
[3]
둘째 굽이에 우뚝 서 있는 옥녀봉이여 二曲亭亭玉女峯
꽃 꽂고 물 굽어보며 뉘 보라 화장했나 揷花臨水爲誰容
도인은 황대몽을 다시는 꾸지 아니하니 道人不復荒臺夢
흥겨운 것은 앞산의 첩첩한 푸르름이네 興入前山翠幾重
해설)
3행 ‘道人不復荒臺夢’을 ‘道人不復陽臺夢’으로 쓰기도 한다. 황대몽(荒臺夢)은 꿈속에 무산(巫山)에서 신녀(神女)와 만나는 것을 말한다.
[4]
셋째 굽이에서 그대 보았던 가학선은 三曲君看架壑船
노 젖지 않은 지 몇 해인지 모르겠소 不知停棹幾何年
바다가 지금 이처럼 뽕밭이 되었으니 桑田海水今如許
포말과 풍등 같은 인생 가련타 하리라 泡沫風燈敢自憐
해설)
1행 ‘架壑船’은 架壑船棺으로 무이산 일대에서 행하던 시신을 배에 담아 바위 벼랑에 매달아 장사지내던 풍습을 이른다.
[5]
넷째 굽이 동서로 마주선 두 바위산에 四曲東西兩石巖
꽃은 이슬 맺혀 바위는 푸른 모포로다 巖花垂露碧㲯毿
새벽닭 울었건만 인적은 보이지 않고 金鷄叫罷無人見
빈산에 뜬 둥근달이 못에도 그득하오 月滿空山水滿潭
[6]
다섯째 굽이 산 높고 운무 두터워 五曲山高雲氣深
언제나 안개비가 평림에 자욱하네 長時烟雨暗平林
숲속의 나그네 알아보는 사람 없고 林間有客無人識
뱃노래 소리에 만고의 마음 담겼네 欸乃聲中萬古心
[7]
여섯째 푸른 물굽이 푸른 병풍 둘러쳤고 六曲蒼屛繞碧灣
초가집은 하루 종일 사립문이 닫혔도다 茅茨終日掩柴關
객이 와 배를 띄우니 산꽃만 떨어질 뿐 客來倚棹巖花落
원숭이 새 놀라지 않고 봄기운 고요하네 猿鳥不驚春意閑
[8]
일곱째 굽이에서 배 몰아 벽탄에 가서 七曲移船上碧灘
대은병이며 선장봉을 다시금 돌아보네 隱屛仙掌更回看
어여뻐라 지난밤 산꼭대기에 뿌린 비여 却憐昨夜峯頭雨
불어난 비천의 물 그 얼마나 차가울까 添得飛泉幾度寒
해설)
대은병(大隱屛)은 오곡에 있는 봉우리로 무이정사(武夷精舍)가 그 아래에 있었고, 선장봉(仙掌峯)은 육곡에 있는 봉우리이다.
[9]
팔곡에 바람 불어 연무가 걷히려하고 八曲風烟勢欲開
고루암 아래로는 물이 소용돌이치네 鼓樓巖下水縈迴
이곳에 멋진 경치 없다고 하지 마오 莫言此處無佳景
단지 유람객이 올라오지 않아서라오 自是遊人不上來
[10]
구곡이 끝나려하니 눈앞이 탁 트이고 九曲將窮眼豁然
비이슬 젖은 뽕밭 삼밭 평천에 보인다 桑麻雨露見平川
젊은 어부 다시 무릉도원 길을 찾지만 漁郎更覓桃源路
이곳 말고 인간 세상에 별천지 있을까 除是人間別有天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거정이 말하는 내장산 백양사 (0) | 2018.10.21 |
---|---|
정철(鄭澈, 1536~1593), 〈송강정사에서 묵으며[宿松江亭舍]〉 (0) | 2018.04.22 |
기대승, 작년 불대산 시절이 문득 생각나서 (0) | 2018.04.22 |
하서 감나무[河西枾] (0) | 2018.04.14 |
갈재를 넘으며[渡蘆嶺]-백광훈(白光勳) (0) | 2018.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