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vering the Memory of Professor Martin Lockley
작년 11월 10일 Martin Lockley 교수님을 모시고, "우리나라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발견 4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강연을 국립문화재연구원[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주관 행사로 진행했었다.
그리고,
1년이 지난 오늘 아침
매우 슬픈 소식을......

세계적인 공룡발자국 전문가이자 항상 유머감각이 넘쳤던 동료이며 현장에서는 최고의 지질학자였던 그가 너무 그립다.
한국사람들보다 김치찌개와 된장찌개를 더 좋아했던!
산 중턱에 자리잡은 그의 집 테라스에서 불고기를 함께 먹던 시간들!
오후 세시반이 되면 어김없이 마셔야 하는 그의 English Breakfast Tea with milk 한 잔의 향기!
그 무엇보다

우리나라 중생대 백악기 척추동물들의 멋진 흔적들을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에 등재해야 한다고 앞장서서 주도했던 업적들이 그를 더욱더 생각나게 한다.
그가 남긴 우리나라 중생대 백악기 화석산지에 대한 학술적인 흔적들이 크고도 많기에,

그를 추모하는 시간은 조금씩 더 많이 차근차근 하게 될 것이지만, 오늘의 슬픔은 쉽게 이겨내기 어려울 듯 하다.
#RIP #마틴로클리 #MartinLockley
***

나는 이 분을 잘 모른다. 다만 이쪽 분야 종사자들이 한결같이 그의 타계에 저와 같은 추도사를 한마디씩 하기에 저 분야에서는 뚜렷한 족적을 남긴 분 아닌가 한다.
마틴 로클리 MartinLockley 선생이시랜다.
글과 사진은 천연기념물센터장 임종덕 박사다.
김경수 교수 글에도 비슷한 내용이 보인다.
먼 동방의 연구자들한테서도 이와 같은 상찬을 받으니 참말로 다복한 양반이겠다 싶다.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산 선유도 해역에 제2의 신안선 나온다..청동기시대 간돌검과 삼국시대 유물 쏟아져 (0) | 2023.11.27 |
---|---|
2024 수능 국어문제 25번 문제를 생각한다 by 박헌순 (0) | 2023.11.27 |
루브르가 선사한 노트르담 대성당 (0) | 2023.11.25 |
한·아세안 수중문화유산 보존처리 사례와 현황 콜로키움 (0) | 2023.11.23 |
한국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위원국 다시 진출 (0) | 2023.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