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會當凌絶頂 一覽衆山小
내 반드시 저 꼭대기 올라서는
한눈에 꼬나보리 뭇산이 작음을
中唐의 시인 두보杜甫라는 이가 대종垈宗이라는 산을 등반하기 전에 꼬나보고는 읉은
망악望岳
이라는 시 마지막 구절이다.
시 제목 망악은 산을 바라본다는 뜻이니, 예서 岳은 산동성 태산泰山을 말한다.

이 태산을 지칭하는 별칭은 여러 가지이나 이 시에서 두보는 굳이 垈宗이라는 말을 끌어다 썼다.
이는 일부러 이리한 것이다.
이는 말 그대로 垈의 宗家가 된다는 뜻이니 산 중에서도 으뜸이라는 뜻이 단순히 크다는 泰山보다 뜻이 강하다.
한데 현장에 가 보면 알지만 실은 코딱지 만한 산에 지나지 않는다.
산 높이나 그 규모라 해 봐야 소백산 태백산에 지나지 않는다.

태산을 이리 만든 것은 해발海拔이다.
sea level! 빨리 읽으면 씨벌이다.
(2014. 1. 21)
***

측량술이 도입하면서 태산은 태산이란 지위를 급격히 상실했다.
실제 재어보니 천오백미터 남짓했다.
오악五岳의 우두머리라 했으나 해발이 폭로한 높이는 실은 젤 꼬바리였다.
한반도에선 다른 양상이 벌어졌는데 백두산 장백산이 어머니 산이었으니 실제 해발도 가장 높았으니 그나마 이쪽은 자리를 지켰다.
해발은 비극이었다.
여지없이 신화를 붕괴한 까닭이다.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사조약에 자결한 이한응이 착용한 외교관 복식 (0) | 2021.01.22 |
---|---|
문서행정 설레발들을 비판한다 (0) | 2021.01.21 |
연암의 갈파 "개시끼는 키우지 마라" (0) | 2021.01.18 |
춘추번로春秋繁露, 춘추春秋를 아롱지게 한 아침이슬 (0) | 2021.01.17 |
대관령 출장갔다 신神이 된 김유신 (0) | 2021.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