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 & 漢文&漢文法

풍년 들어봤자 절반은 빚잔치 절반은 세경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8. 9. 29.
반응형


한시, 계절의 노래(187)


농부의 노래 다섯 수(田父吟五首) 중 셋째


[宋] 섭인(葉茵) / 김영문 選譯評 


하늘이시여 농부들을

생각해주소서


만 이랑 황금 물결

온 땅을 덮었지만


곡식 있어도 자녀 위해

계획 마련 못하고


절반은 빚 갚고

절반은 세금 냅니다


老天應是念農夫, 萬頃黃雲著地鋪. 有穀未爲兒女計, 半償私債半官租.


70~80년대 대학가에서 우골탑(牛骨塔)이란 말이 유행한 적이 있다. 대학을 흔히 상아탑(象牙塔)이라 부르는 세태에 대한 풍자였다. 당시 시골 출신으로 대학에 다닌 사람들 대부분은 고향집 암소가 학비의 원천이었다. 암소는 지금의 경운기나 트랙터를 대신하는 우수한 농기계였을 뿐 아니라 1년에 한 번씩 송아지를 낳아 몫돈을 마련해주는 부동의 재테크 원천이었다. 암소가 마련해준 몫돈으로 대학을 다녔으니 우골탑이란 말이 어찌 한갓 풍자어에 그치랴? 지금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에서 방구께나 뀌는 시골 출신들은 대개 이처럼 암소의 도움을 크게 받았다. 하지만 어느 누구도 자기 삶의 은인인 소를 위해 그 어떤 기념사업도 펼치지 않는다. 말 못하는 짐승이라고 어찌 이리 푸대접이 심한가? 배은망덕의 극치라고밖에 말할 수 없다. 우골탑이 아니라 우은탑(牛恩塔)을 세워야 마땅하지 않은가? 우골탑 세대로부터 거의 40년이 흘렀지만 농촌 살이가 그렇게 나아진 것 같지 않다. 시골 농촌에서 자식을 서울 소재 대학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정말 허리가 휠 정도로 고생을 감수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게 하고도 늘어나는 빚에 가계가 휘청거릴 지경이다. 자식 하나를 대학에 보내기 위해서는 공납금, 방세, 잡비를 합하여 적게 잡아도 1년에 거의 1500만원 이상의 돈이 들어간다. 가을 추수를 끝내고 나면 1년간 쌓인 빚을 갚기에 급급하다. 얼마전 보도를 보니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미국 농산물을 우리나라에 많이 팔게 되었다고 자랑질 하느라 침이 다 마를 지경이었다. FTA협상에서도 우리 농산물은 언제나 협상 뒷순위로 밀린다. 가을을 상징하는 황금벌판 뒤에는 고통스럽고 팍팍한 우리 농촌의 현실이 숨어 있다. 소가 베푼 은혜를 망각한 우리는 우리의 생명, 우리의 먹거리를 생산하는 농촌을 이처럼 푸대접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