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한국 천주교의 출발과 그 전사前史

by 신동훈 識 2025. 5. 11.
반응형

필자가 생각건데, 

한국 천주교사 시작은 
이승훈의 세례가 아니다. 

정확히는 한국교회가 자생적으로 탄생하여 

교회가 만들어지고 운영되다가, 

사도전승에 기반하지 않은 교회는 무효라는 북경천주당 해석에 입각하여 

기존 교회를 정지시키고 신부 파견을 요청한 시점. 

이 시점이 한국 천주교가 시작된 시점이다. 

그 이전은 한국천주교와 개신교가 공유해야 할 기독교사에 해당한다. 

왜냐하면 이승훈과 그의 동료들이 만든 교회는 

"천주교회"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 교회는 천주교 교리를 가지고 만들었다지만, 

교회 구조는 오히려 개신교를 더 닮은

특이한 형태의 교회였기 때문이다. 

한국천주교회사는 이 시기의 교회를 "한국천주교회의 전사"로 간주하는데, 

필자는 이 시기를 천주교도 개신교도 아닌 

한국에서 발생한 특이한 형태의 교회의 단계로 해석할 것을 제안한다.

이 시점의 교회를 천주교회의 시각으로 보면 사도전승이 없는 불완전한 것이며, 

개신교 입장에서 보면 천주교 교리에 기반한 교회로서 양쪽 모두 이 시기 교회를 불완전한 것으로 보는 것 같은데, 

과연 그런가? 

어느 누구에게도 나름의 방식으로 성립하여 운영되는 교회를 이단이나 불완전하다는 잣대로 평가할 권리는 없다. 

이승훈이 만들었다가 해체된 "사도전승 없는 교회"는, 

불완전한 것이 아니라 그 자체 완성된 형태로서, 

천주교와 개신교 어느 한 쪽에 속할 수 없는 특이한 지점에 있는 교회로 해석해야 할 것이라 본다. 
 

이승훈이 만든 교회가 사도전승이 없어서 문제였다면, 성공회의 캔터베리 대성당은 어떤가? 이승훈의 초기 교회는 천주교 혼자만의 역사가 아니라 한국 기독교가 공유하는 독특한 교회로서, 그 자체 완성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