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유은식)가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서 수습한 유리를 고리로 삼아서, 이를 중심으로 비슷한 삼국시대 유리 출토품을 과학으로 분석한 결과 그것이 이른바 로만글라스에 속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선, 그 결과를 29일 개최되는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에서 공개한다고 하는데.
그 시발이 된 유리제품은 함안군 의뢰로 경남연구원이 2021년 발굴한 말이산고분군 제75호분 출토품이었다. 이 무덤에서는 당시 5세기 무렵 제작했다 추정하는 중국제 연꽃잎무늬 청자그릇 1점이 확인되었다 해서 놀라움을 주기도 했다.
유리제품은 그 청자 주변에서는 이른바 ‘로만글라스’라 칭하는 둥글게 말린 장식을 단 감청색 조각 형태로 발견됐다. 아라가야 권역에서는 최초로 확인한 이른바 로만글라스 쪼가리였다.
이와 아주 흡사한 형태, 곧 쪼가리 모양으로 나온 유리제품은 경주 금관총, 사천왕사터를 포함하는 신라권역과 김해 대성동 고분군 91호분, 합천 백암리 절터 등 가야권역에서도 발견 사례가 있다.
그렇다면 이들 유리는 어디에서 온 것인가?
가야연구소는 말이산 고분군 출토 유리 조각 2점을 비롯해 김해 대성동 고분군과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된 유리 조각 각 1점을 분석했다.
그 결과 유리 조각 넉점은 칼슘(라임) 함량이 높고 알루미나 함량이 낮아 로만글라스라 부르는 소다-라임 유리[로만글라스(소다-라임 유리)]로 확인됐다고 한다.
로만글라스(소다-라임 유리)는 소다 원료를 기준으로 다시 로마유리 Roman glass 또는 사사니아 유리 Sasanian glass로 분류한다.
한데 이번 분석 대상 4점은 소다 원료를 기준으로 로마유리 Roman glass 또는 사사니아 유리 Sasanian glass라는 분류 범주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단다.
이는 천마총, 황남대총 등 신라고분에서 출토되는 로만글라스(소다-라임 유리)가 전형적인 로마유리 또는 사사니아유리 범주에 포함된다는 점과는 분명한 차이라고 한다.
이로 볼 때 4점 유리 용기 조각은 제작과정에서 기존 로만글라스(로마유리 또는 사사니아유리)와는 다른 제작원료를 사용했고, 제작 집단 또한 상이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한다.
소다-라임 유리는 용융온도를 낮추기 위해 소다 Na2CO3를 융제로, 라임 CaO을 안정제로 첨가하여 제작한 유리를 말한다. 로마유리는 로마제국에서 생산된 유리를 일컬으며, 제작 원료로 네트론 Natron 광물을 이용 제작되어 네트론유리 Natron glass로 칭하기도 한다.
반면 사사니아 유리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사산제국(사산왕조 페르시아)에서 제작된 유리로 식물재를 원료로 제작되어 식물재유리로 칭한다.
또한 로만글라스 형태 유리 용기 조각이 영남권역에서만 발견되는 점을 볼 때 제작지와 제작 원료가 다양한 로만글라스가 고대에 한반도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유통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
저런 성과는 곧 저 로마유리가 다른 통로로 유입된 것임을 암시하는 해석을 제공하지 않나 싶다.
느낌으로는 초원 실크로드 루트를 상정하지 않나 한다.
나아가 저 성과로 볼 때는 제작지 또한 예컨대 초원지대나 중국 대륙 같은 데를 상정하지 않나 싶다.
그 원천 기술은 로마에서 가져오된 그것을 현지화한 집단이 제작했다는 그런 수순 말이다.
다만 설혹 그 가설이 성립한다 해도 문제는 다대해서 그 전제가 된 로마유리 사산조페르시아유리가 어느 정도 분석 비교대상으로 의미가 있는지는 내가 모르겠다는 점이다.
이번 분석결과가 아직까지 분석되지 아니하거나 알려지지 않는 로마유리 사산조유리는 얼마든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고 그 많은 로마 사산조유리를 우리가 다 뽀개서 분석한단 말인가?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명치는 어디에 있는가? 국립민속박물관이 야심차게 준비한 K-밥상 (0) | 2023.04.29 |
---|---|
할아버지 백사가 개고생해서 손자한테 써준 천자문 (0) | 2023.04.28 |
서울공예박물관 X 청주시한국공예관 특별교류전 <화이트 앤솔러지> (0) | 2023.04.26 |
부여 가림성 제8차 발굴 생생화보(2) from 노기환 (0) | 2023.04.25 |
부여 가림성 제8차 발굴 생생화보 from 노기환 (0) | 2023.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