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shorts/U4F__UWzfWw
요새 내가 폭군의 쉐프라는 드라마를 시청 중이라는 말을 했거니와,
저 드라마에 매우 자주 나오는 말이 '기미하거라'이거니와
도대체 이 기미하다는 말은 어디에서 온 개뼉다귀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저 '기미'라는 말을 찾아보면 동음이의어가 너무 많지만,
암튼 임금이 수라를 들기 전에 독이 들었는지 검사하는 차원에서 상궁이 먼저 해당 음식을 시식할 적에

그런 일을 하라며 연산군이 "먼저 먹어 보아 음식에 독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라"는 맥락으로 쓰는 기미는 다음이라
기미氣味
「명사」
「1」 냄새와 맛을 아울러 이르는 말. =취미.
「2」 생각하는 바나 기분 따위와 취미.
형님은 인간의 기미를 몰라서 그러는 겁니다. 이론이야 늘 빈틈없이 쏙 뽑아내는 것이 형님의 장기지만…. ≪박경리, 토지≫
「3」 『한의』 약의 상태와 맛. 사기(四氣)와 오미(五味)로 나눈다.
관용구/속담
기미가 통하다
생각의 지향성이나 취미 따위가 일치하거나 가까워서 은연중에 서로 이해되다.
기미를 보다
임금에게 올리는 수라나 탕제 같은 것을 상궁이 먼저 먹어 보아 독이 들어 있는지 알아보다.
이에서 보이는 기미를 보다할 때 그 기미가 저 기미하거라의 기미이며 그것은 한자어 氣味에서 유래함을 본다.
그것은 명사라, 사기四氣의 기와 오미五味의 미를 축약했음을 본다.
따라서 기미하거라는 말이 되지 않는다.
아 물론 말이 되지 않는다는 것과 그런 말을 써서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는 것은 별개 문제다.
다만 액면 그대로는 기와 맛이라, 기미하거라는 "기와 맛을 하라"이 뜻이라서 말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저 경우에 쓰야 하는 말은 "기미를 보거라" 정도로 해야 한다.
한데 저 기미라는 말을 저와 같은 맥락으로 쓴 경우가 중국 본토에서는 눈에 띄지 않는 모양이라 그 풀이를 바이두에서 찾아보면 도무지 보이지 않는다.
https://baike.baidu.com/item/%E6%B0%94%E5%91%B3/33379
저 기미를 본다는 맥락의 기미가 도대체 근거가 무엇인지 나는 찾지 못했다.
음식사 하는 분들이 혹 도움을 주면 좋겠다.
폭군의 쉐프, 고추, 그리고 제피
https://historylibrary.net/m/entry/4-102
폭군의 쉐프, 고추, 그리고 제피
저 폭군의 쉐프라는 드라마는 하도 여기저기 홍보용 짤 영상이 자주 보이는 데다, 마침 지인이 볼 만한 드라마다 추천하기에 얼마 전부터 틈나는 대로 넷플릭스를 통해 보기 시작했거니와 첫째
historylibrary.net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은 3~4회차, 책은 2쇄, 목판은 10회를 넘겨야! (0) | 2025.09.11 |
---|---|
양동이 전쟁을 아시나요? 그 뒤에 숨은 진짜 바케스 쟁탈전 (0) | 2025.09.11 |
무릎 꿇은 황소: 5,000년 전 이란의 잡종 신비 생물 (0) | 2025.09.08 |
[김태식 추천도서] 《독약은 입에 쓰다》(성균관대출판부, 2009) (1) | 2025.09.08 |
한국 터키탕, 그 직접 조상 오스만 함맘은 어떤 곳인가? (3) | 2025.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