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1700년대 초기의 호적을 보고 받은 충격

by 신동훈 識 2025. 7. 5.
반응형

 

우리나라 삼남 지역 어느 고을의 1700년대 호적을 볼 기회가 있었는데

정말 충격을 받았다. 

앞에도 썼지만 가가호호 

4-6명 정도 노비는 다 데리고 있었고 

자작농은 거의 없어 보였다. 

실제로 17세기 초반 상황을 그린 쇄미록을 보면

주인인 양반집이 각지에 흩어진 노비들로 부터 신공을 거두는 모습이 보이는데 

또 다른 비슷한 시기 일기에서도 유사한 정경을 묘사한 것을 보면

17세기 초반은 지주 전호제가 성립될 만한 상황이 아니었다고 보며

과연 이러한 노비 노역을 근거로 한 생산방식이 언제나 해소되는가를 궁금해 하던 필자로선

우리나라 삼남지역 번듯한 동네에서 1700년대, 즉 18세기 초기까지도

집집마다 4-6명 노비를 거느리고 있는 모습을 보고 

이 시기까지도 우리나라는 노비의 노역이 나라의 생산양식에서 막대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다면 말이다. 

17세기부터 지주전호제가 확립되어 이 시기에 이미 광작운동이 일어나고 

농민들 사이의 분화가 활발해져 자본가적 차지농이 나온다고 한 

광작운동은 도대체 무슨 허깨비를 보고 입론한 것인가? 

상품 화폐경제, 자본주의 맹아는 고사하고 

18세기 초반까지도 집집마다 4-6명 노비를 거느리고 농사를 짓던 이런 상황을

우리는 도대체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말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