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앞서 이야기한 바처럼 19세기 들어오면
대개의 경우 소농질서로 재편되어 한 마을에 유학이 급증하는 등
계급해방의 징후가 매우 뚜렷해지는데
이런 것도 동네마다 차이가 있어서
매우 높은 신분의 양반이 살던 동네에는
1860년대까지도 한 호 당 노비가 100명 이상 사역하여
그런 일족의 호가 10여 가는 모여 있는 듯한데
노비의 수가 필자가 보기엔 줄잡아도 800-1000명은 되어 보인다.
이런 마을에는 대개 신분 해방도 없다.
신분 해방이라는 것도 만만한 고만고만한 양반들이나
양반호소자들이 모여사는 동네에서나 쉽게 되는 것이지
제대로 된 양반들 사는 동네에서는 이것도 쉽지 않았음을 알겠다.
1860년대면 바야흐로 미국에서 노예해방 문제로 남북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이되
그 나라에서는 아무리 피부색이 다르더라도 사람은 노예로 삼아서는 안된다는 주장이라도 심심찮게 나왔는데
여기는 1860년대에 수백 명 노비를 문중에서 부리는 사례가 비일비재한데도
누구 하나 나서서 노비를 해방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대부가 단 한 놈도 없었다.
그러고도 나라가 안 망하겠는가?
조선의 망국은 스스로 자초한 것이지
남에게 책임 돌릴 필요도 없다.

*** [편집자주] ***
세상이 저리 돌아가는 데도 선각자 하나 없었다.
조선의 멸망이 외세 탓? 웃기고 자빠졌네.
저절로 망한 것이며 망해야 하니 망한 것이며 망할 만 하니 망했을 뿐이다.
우리 손에 망했어야 한다?
우리 손이건 남의 손이건 망하는데 무슨 폼새 따지는가?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 노년의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득신 강상회음을 보며 간흡충을 떠올리다 (1) | 2025.09.02 |
---|---|
19세기 중반까지도 수십 수백을 노비 사역시키는데 (1) | 2025.09.02 |
호적만으로 더 이상 지배자가 구분 안되는 시기-19세기 (1) | 2025.09.01 |
왜 양반 수는 불어만 가는가 (1) | 2025.09.01 |
뒤 늦게 불 붙은 장작 (1) | 2025.09.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