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마도 조선에서 가장 많이 읽힌 책을 꼽으라면 소학小學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이름의 소학서가 활자와 목판으로 간행되고, 또 많은 사람들이 이를 필사하여 읽었다"
근자에 '조선의 소학-주석과 번역'(소명출판)이라는 노작을 낸 정호운이 서문에서 한 말이다.
하지만 이 말 조심해야 한다.
판본이 많고, 주석이 많고, 필사가 많다 해서 그 책이 정말로 많이 읽혔거나 '인기'가 있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인기와 판본은 별개다.
내 아무리 봐도 정호운은 인기와 판본을 혼동한 듯하다.
이는 조선시대 사상사를 전공하는 사람들한테 나타나는 현상의 전형이다.
소학 따위가 재미없기는 그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인기 있는 책은 따로 있었다.
판본도 없고, 필사도 없고, 한글번역본도 없는 것이 그런 경우도 있었다.
소학이 대표하는 교과서와 권력의 독서가 밀어낸 진정한 강자를 찾아내는 일을 누군가는 해야 한다.
(2014년 7월 19일)
인구 숫자 대비 양반 가문에 태어난 인물들이 소학을 가장 많이 접촉했다는 말은 타당할 겁니다. 여기의 '많이'는 '소학을 한 번 이상 접촉한 인구 숫자가 많다는 뜻'입니다. '사람들이 소학을 다른 책보다 더 열심히 읽었다.'와는 같은 말이 아닙니다. 소학은 사실 아이들에게는 무지 재미 없고 내용도 어려운 책입니다." (박헌순 덧붙임)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형제 이야기, 고추를 자르고 심장을 꺼내는 요상한 고대 이집트 서사 (2) | 2025.07.18 |
---|---|
식민지시대 ‘한성백제’와 그 탄생, 특히 문화재 탄생의 추적 (1) | 2025.07.17 |
덴마크 중석기 시대 백조 여인 (2) | 2025.07.16 |
여전히 오리무중인 로마 12면체 청동유물 (3) | 2025.07.16 |
아이를 울러매는 그 미묘한 차이, 그리고 구리거울 (1) | 2025.07.15 |
댓글